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뉴스
"
번식
"(으)로 총 675건 검색되었습니다.
카길한림생명과학상에 방명걸·윤대진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수와 구조적 이상에 의한 불임의 원인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았다. 방 교수는 수컷 동물의
번식
능력을 선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의학학술지 랜싯에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윤 교수는 식물이 외부 환경에 노출됐을 때 어떻게 신호를 활성화하고 둔감화 하는지를 통해 생체방어 작용이 어떻게 ... ...
"국산 당뇨 합병증용 신약후보물질 코로나19 억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4.14
녹스의 활성을 조절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증식을 막을 수 있다. 먼저 바이러스가
번식
하려면 인체 세포 안으로 침투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엔도솜이라는 세포내기관이 필요하다. 바이러스는 엔도솜을 마치 주머니처럼 활용해 그 안에 담긴 채 세포 안에 침투한다. 침투 뒤에는 엔도솜 안의 ... ...
춘천서 46년만에 발견한 장수하늘소, 광릉에 사는 수컷과 짝짓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3
암컷은 죽었다. 연구소는 광릉숲에 사는 암컷 두 마리를 데려와 춘천에서 발견한 수컷과
번식
을 시도할 예정이다. 이성경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는 "인공 사육과 증식을 통해 서식지를 추가로 복원하고, 장수하늘소를 활용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 독수리 '하나'가 동물원에 온 사연
2020.04.11
등 많은 유럽 국가에서는 독수리가 완전히 멸종됐다. 이젠 모로코, 알제리, 이스라엘처럼
번식
지였던 곳에서도 더이상 독수리의 둥지를 볼 수 없다. 또 독수리가 느리게 비행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노리기 쉬운 사냥감이란 것도 문제다. 이 때문에 지금은 세계자연보연연맹(IUCN)에서 독수리를 ... ...
[기고]코로나19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
2020.04.06
마이크로바이올로지에 보고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같은 RNA 바이러스들의 세포내
번식
을 막아내는 EPRS 물질을 발견하여 국제학술지 '네이처 이뮤놀로지'에 발표했다. 이 물질은 다양한 RNA 바이러스를 공통적으로 막아낼 수 있음으로 범용성 RNA 바이러스 치료제가 될 수 있다. 최근에는 ... ...
규제 사각 '야생동물 카페' 2년 새 배로…감염병 매개 우려
연합뉴스
l
2020.03.08
수 있게 돼 있다. 현재로선 야생동물 카페에 전시된 동물이 어디에서 사육됐고
번식
됐는지, 어떤 환경에서 수입됐는지, 예방 접종은 제대로 했는지 등은 제대로 확인할 수 없는 상태인 셈이다. 전문가들은 카페 내 야생동물이 병원균을 보유하고 있다가 불특정 다수의 관람객과 접촉하며 ... ...
[슬기로운 동물원 생활]스라소니가 동물원 마스코트가 된 사연
2020.03.07
정도로 청각이 예민한 동물이다. 둘을 합사한 뒤에도 동물원 식구들 모두 스라소니의
번식
을 위해 눈치를 보곤 했다. 사육사들은 먹이를 가져다줄 때조차 사뿐사뿐 걸으며 작은 발소리에도 신경을 썼다. 2019년 4월 23일 시안과 유라가 살던 스라소니사에서 모두가 기대하던 작은 울음소리가 들렸다 ... ...
[인류와 질병]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이름의 기원
2020.03.07
이명법을 응용하여 단일한 목에 속하는 세 집단으로 나눈 것이다. 바이러스는 독자
번식
이 불가능하므로 생물학적으로 상당히 훌륭한 분류법이다. 하지만 우리는 동물을 공격하는 주파지네, 특히 인간에게 위험한 바이러스만 관심이 있으므로 별로 유용하지 않다. LHT 분류체계 옛날에 사용하던 ... ...
[프리미엄리포트]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바이러스의 진짜 정체
과학동아
l
2020.02.28
중요한 역할을 했다. 코로나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이런 특징은 바이러스의 생존과
번식
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바이러스가 특정 숙주에만 감염되는 데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수용체 결합 영역(RBD·receptor binding domain)의 아미노산 서열에 따라 수용체 결합 ... ...
中창고형 병동 이어 日크루즈선까지…밀폐공간이 감염확산 위험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4
전문가들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임시 대피 병동이 오히려 바이러스를 증식시키는
번식
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가장 우려되는 점은 환자의 보호자나 의료진, 경미한 증상이 나타나 빠른 시일 내 치료 가능한 환자마저 이런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서 다함께 중증 환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