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출
배설
분비물
배설물
걸러내기
스며나옴
뉴스
"
분비
"(으)로 총 1,57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드름 치료하는 똑똑한 박테리아…합성생물학으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아크네스'라는 이름의 박테리아다. 이 박테리아의 유전자를 교정해 NGAL 단백질
분비
기능만을 촉진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박테리아를 주입한 쥐에게선 피지조절 세포가 효과적으로 사멸됐다. 연구팀은 "유전자를 교정하는 과정에서 DNA가 세포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유전자 기능을 발현하게 하는 ... ...
1년 생존 어려운 ‘미분화 갑상선암’ 새 치료 전략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황성순 연세대 의대 의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석모·윤혁준 강남세브란스병원 갑상선내
분비
외과 교수 연구팀이 기존 항암제에 높은 저항성을 보이는 미분화 갑상선암에서 새로운 치료 전략을 발견했다고 10일 밝혔다. 미분화 갑상선암은 평균 생존 기간이 1년이 안 되는 치료하기 어려운 암종 중 ... ...
[의학바이오게시판] 은평성모병원, 뇌사자·생체 신장 로봇이식 성공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8
팀닥터로 합류해 선수들의 건강 관리를 하고 있다. ■ 고대안산병원은 장영우 유방내
분비
외과 교수가 로봇수술 단독 500례를 돌파했다고 8일 밝혔다. 갑상선암이 440례로 가장 많았고 부신 종양과 유방암 수술도 다수 진행됐다. 갑상선암 로봇수술의 절반은 이전 수술방식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 ...
인간만큼 정교한 치료하는 개미…감염 알아채고 항생물질로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했다. 개미의 흉부에 있는 후늑막
분비
선에서 항생물질을
분비
해 치료에 이용한 것이다.
분비
물에 포함된 112개의 성분 중 절반은 항균 및 상처 치유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항생물질로 치료를 받으면 개미의 사망률이 90% 감소한다는 점도 확인했다. 프랭크 교수는 “인간을 제외하고는 이처럼 ... ...
유방암 생존·전이 직접 조절하는 ‘지방세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수 있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유방암 초기 단계에 암 연관 지방세포의 FAM3C
분비
체를 억제하면 유방암의 성장과 전이가 억제된다는 점도 확인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로 암 연관 지방세포가 FAM3C를 통해 유방암의 성장과 전이를 직접 조절한다는 것을 검증했다”며 “향후 유방암 조기 ... ...
"개미도 동료 상처 감염 여부 진단해 항생제로 치료"
연합뉴스
l
2024.01.03
것으로 나타났다. [Erik Frank/UNIVERSITY OF WÜRZBURG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이
분비
물에는 113가지 성분이 포함돼 있고 그중 절반은 항균 또는 상처 치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치료법은 효과가 매우 뛰어나 치료받은 개미들의 사망률이 90% 이상 감소했다고 밝혔다. 프랭크 ... ...
"아이들 인지 발달, 장내 미생물과 연관 있어"
연합뉴스
l
2024.01.03
Eubacterium eligens)와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Faecalibacterium prausnitzii) 같은 단쇄 지방산
분비
종들이 많아지면서 인지기능 점수가 올라갔다., 반면 인지기능 성적이 낮은 아이들은 루미노코쿠스 그나부스(Rumonococcus gnavus) 같은 미생물들이 많았다. 이 결과는 소아기 장 건강의 중요함을 보여주는 ... ...
'그곳'의 털이 더 곱슬인 이유 찾는 과학자…"코팅 소재 개발할 것"
과학동아
l
2023.12.31
시 마찰을 줄이는 쿠션 역할을 하기 위해 곱슬곱슬하다는 주장도 있고 성기 주변에서
분비
되는 페로몬을 확산시키는 데 곱슬한 털이 유리하다는 설명도 있다. 그밖에 인간이 고릴라와 같은 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왔음을 증명하는 것이 곱슬한 음모라는 가설도 있다. 고릴라와 침팬지의 털을 ... ...
인간이 바꾼 바퀴벌레의 프러포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2.31
돌연변이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기존 수컷은 맥아당이 든 용액을
분비
하는데 맥아당은 암컷의 타액에 닿는 순간 포도당으로 분해됩니다. 반면 말토트라이오스는 타액에 닿아도 포도당으로 분해되지 않아요. 그래서 포도당을 싫어하는 암컷도 수컷을 피하지 않고 짝짓기를 계속할 ... ...
지구온난화라는데 겨울엔 왜 더 추워질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12.30
자는 동안에는 오랜 시간 눈을 깜빡이지 않기 때문에 눈꼬리와 속눈썹 라인을 따라
분비
물이 쌓인 채로 굳어 눈곱이 생겨요. 눈곱이 끼었을 때 손으로 눈을 비비고 싶은 유혹이 생기더라도 참는 게 좋습니다. 깨끗하게 씻지 않은 손은 눈에 세균, 바이러스 등을 옮겨 감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