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들보
광선
빈 상태
텅 빔
공허
빔 프로젝터
BIEM
뉴스
"
빔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체에서 액체가 되는 순간 분자 상태 첫 촬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탄소 원자들이 오각형 혹은 육각형 모양으로 결합해 구형 분자를 이룬다. 풀러렌은 전자
빔
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핀은 액체 상태의 풀러렌 분자들을 지탱하고 전자현미경 관찰 중 문제가 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하시키는 역할을 했다. ... ...
상온 VOCs 제거 기술로 공기질 스마트하게 관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배출량 높은 울산에 필요 김수한 친환경재료공정그룹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이 전자
빔
으로 생성한 플라스마로 공기 중 유해 화합물을 없애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VOC 제거 시스템은 국내외에서 특허 출원 건수가 늘어나는 등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관심사다. 생기원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전 ... ...
"중성자별 블랙홀 병합 중력파 관측" 과학계 떠들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지구를 통과하는 중력파가 L자 형 진공관 안에서 반사되는 레이저
빔
에 주는 미세한 변화를 측정해 중력파를 감지한다. 연구자들은 이 지역에서 빛이나 전파를 이용해 이 충돌이 남긴 흔적도 관측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관측된 내용은 없다. 다만 중력파 신호를 ... ...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나노입자 움직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데 성공했다. 금 나노입자에 레이저를 쪼여 음향 진동을 발생시키고 펨토초 단위로 전자
빔
을 쏴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는 모습을 포착한 것이다. 연구진은 또 ‘전자직접검출 카메라’를 검출기로 사용해 검출 한도를 10배 정도 높였다. 광학현미경은 투과나 반사된 빛을 이용해 이미지를 바로 ... ...
광학·제약에서 사용되는 '뾰족한 금 나노입자' 제어 원리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7.22
조리개로 선택해 이미징하는 기법인 명시야상이미징을 사용해 액상에 연속적인 전자
빔
을 투여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실험 결과 금 나노입자가 성장하면서 반듯한 면으로 둘러싸인 상태에서 가시가 돋아나와 고슴도치 모양의 입자로 변했다. 입자의 밀도는 1초동안 단위면적 당 도달하는 ... ...
머스크의 다음 실험은 '인간 뇌-컴퓨터 연결 기술'…내년 목표
연합뉴스
l
2019.07.18
막대한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다고 업체 측은 덧붙였다. 그뿐만 아니라 이후에는 레이저
빔
을 이용해 라식수술만큼이나 간단하게 이 '뇌 확장 이식수술'이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머스크는 뉴럴링크의 또 다른 목표가 뇌 장애 치료라며 "이것도 칩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 ...
원자력硏, 국내 첫 중이온
빔
조사 시험시설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19.06.24
대한 활용 문의가 많다”며 “연구자들이 양질의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충분한
빔
이용시간을 제공하고, 이용자의 피드백을 반영한 성능 점검과 개선에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 ...
꿈의 에너지 소재 개발에 쓰일 35번째 빛 발사장치 준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기존 광전자 분광 장비(XPS)의 특성상 초고진공 환경에서만 실험이 가능했는데, AP-XPS
빔
라인은 3세대 방사광원과 진공 기술이 발달한 덕분에 대기압 환경에서도 가능하도록 개발됐다. 그래서 실제 대기압 하에 온도와 전압 등을 조절하면서 실시간으로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수소 저장물질과 ... ...
'이름만이라도' 화성行 선택한 335만명…북한도 347명 신청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했다. 신청자의 이름은 NASA 제트추진연구소가 일일이 전자
빔
으로 실리콘 칩에 새겨 화성으로 보낼 예정이다. 글자 선의 굵기는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굵기 수준인 75나노미터(㎚, 10억분의 1m)다. 작은 동전 크기의 칩 하나에 100만 명 이상의 이름을 새길 수 있다. NASA 측은 ... ...
서울대·KAIST·포스텍·중앙대 전파연구센터 신설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센서가 제공하지 않았던 기능을 연구한다. 전파가 특정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3차원
빔
포밍, 여러 레이더 파형을 이용해 전파정보 정확도를 높이는 가변레이다 파형을 반도체 칩에 구현해 지능형 레이다를 개발한다는 목표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이번에 여는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