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52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존율 1% 극복…한국서 가장 작게 태어난 260g '예랑이' 퇴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1.12
재활치료를 하며 회복을 도왔다. 신생아중환자실 전문간호사의 역할도 컸다. 예랑이의
작은
몸에 영양 및 약물 주입이 가능하도록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을 확보하고 고습도이면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민현기 전문간호사는 임신 합병증으로 예랑이 엄마가 잠시 앞을 보지 ... ...
폼페이에 묻힌 인간 화석, 가족관계가 아니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인간 화석의 모습. 폼페이 고고학 공원 제공. 화산 폭발로 소멸한 이탈리아 로마의
작은
마을인 폼페이에 묻혀있던 시신에서 채취한 DNA가 폼페이 역사를 바꿀 것으로 보인다. DNA를 활용한 광범위한 분석에 따르면 오늘날 공식화된 전통적인 가족상과 일치하지 않는 가족 관계들이 확인되고 있기 ... ...
달 기지용 원자로 개발 '착착'…"아르테미스에 한국 역할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원자력 시스템은 극한 환경에서도 신뢰도가 높고 단위 질량당 에너지 밀도도 높다.
작은
규모로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뜻이다. ● 방사성동위원소 발전, 핵분열 발전시스템 연구 '착착'…'아르테미스'에 활용 가능 달 기지 등 우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원자력 시스템은 ... ...
삼성·SK가 '입도선매'하는 양성자가속기…"우주·반도체 패권 다툼에 성능 높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10
com 두께 2m가 넘는 차폐문을 열자 75m 길이의 커다란 금속관이 나타났다. 물질을 이루는
작은
입자인 양성자를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시켜 반도체, 신약·신소재 등 첨단기술 개발에 활용하는 국내 유일 '양성자가속기'다. "최근 반도체와 인공위성이 대기·우주방사선에 노출됐을 때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겪은 어려움 처한 사람을 경멸하는 이유
2024.11.09
전부 이루었다고 보는 것은 정확하지 않은 시각일 것이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비교적
작은
도움을 받고 이로 인해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하지만 이 때에도 상관없는 타인에게 보상심리나 억울함을 내비치기보다는 "나는 도움을 받지 못했고 그래서 더 힘들었지만 너는 그런 어려움을 겪지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작아야 수고를 덜면서도 온전히 수확할 수 있다. 따라서 순화 과정에서는 탈립성이
작은
변이 개체를 선별해 재배하는 게 중요하다. 청주소로리볍씨에서 소지경 분석이 가능한 13개 볍씨는 매끄럽게 탈립된 것이 9개, 소지경이 붙어 있는 게 2개, 낱알과 소지경 사이 탈리층 표면이 거친 게 2개로 ... ...
이론한계보다 '먹성' 40배 좋은 초기 우주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블랙홀 이론에 따르면 별이나 가스 구름의 붕괴로 생긴
작은
블랙홀 '씨앗'이 초대질량 블랙홀로 커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지만 관측으로는 확인된 바 없다. 서 연구원은 "블랙홀 씨앗이 가볍든 무겁든 한 번의 '식사' 동안 질량 증가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많이 ... ...
수소 1kg당 1달러 시대 앞당기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4
적용한 저이리듐 촉매를 개발했다. 지지체란 수전해 반응에서 촉매를 사용할 때
작은
촉매 입자들이 시간이 지나며 뭉치는 현상을 막는 역할을 한다. 기존 이리듐 촉매에서 주로 쓰이던 탄소 지지체는 수전해 반응을 일으키는 전압인 1.6~2.0V(볼트)에서 쉽게 이산화탄소 등으로 산화돼 불안정했다. ... ...
탈모 치료 패치로 변신한 디스플레이 소재 양자점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저널'에 공개됐다. 양자점(QD, 퀀텀닷)은 입자 크기에 따라 색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작은
반도체 결정이다. 양자점을 활용한 QD-OLED는 기존 LED보다 다양하고 선명한 색을 낼 수 있는 소자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주로 쓰인다. 인체에 부착해 실시간 진단·치료를 할 수 있는 웨어러블 OLED 기술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이 쉽게 부러지는 이유에 '한걸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3
세포가 서로 연결된 이미지를 실었다. 두 개의 세포벽은
작은
가닥들로 연결됐다. 이
작은
가닥들은 세포소기관중 하나인 소포체다. 소포체는 세포의 핵을 감싸는 핵막이 연장돼 그물모양으로 생성된 구조다. 앞서 소포체가 식물의 세포들을 연결한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소포체가 어떻게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