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충
정액
휴게소
발코니
씨
씨앗
종자
뉴스
"
정자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빠 1명, 엄마 2명 ‘세 부모 체외수정’ 허용될까
2014.12.31
꼽았다. 시험관 수정을 하고 있는 모습 - Eugene Ermolovich(CRMI) 제공 세 부모 체외수정은
정자
와 난자를 시험관에서 수정시킨 뒤 자궁에 착상시키는 체외수정인 ‘시험관 아기 시술’과는 다르다. 예를 들어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에 결함이 있는 A라는 여성이 있다고 치자. 이 여성은 임신하면 질병이 ... ...
피부세포로
정자
와 난자 만들면, 뭐가 좋아질까요
2014.12.28
분야이다. 연구팀은 “시원생식세포를 쥐의 난소나 정소에 넣어 정상적인 난자와
정자
로 분화하는 지 확인할 계획”이라며 “후성유전학에는 물론 불임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생명공학분야 학술지 ‘셀’ 24일자에 실렸다. ... ...
아빠가 ‘슈거홀릭’이면 자녀가 비만?
2014.12.08
요소가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미 정해져 있는 유전자도
정자
가 만들어지거나 배아가 난소에서 자라나는 동안 부모가 어떤 상태에 있느냐에 따라 발현되는 특징이 달라질 수 있다고 가정했다. 연구진은 수컷 노랑초파리에게 짝짓기를 하기 전 1~2일 동안 평소보다 ... ...
125nm HIV 막는 0.03mm 두께 콘돔
과학동아
l
2014.11.28
숙성시키는 게 핵심이다. 공장장인 박현조 상무는 “모든 콘돔은 국제 규격(ISO)에 따라
정자
와 바이러스를 모두 막을 수 있으며 공기를 18L 이상 불어넣어도 터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마지막 안전장치로 최종 검증 과정이 기다리고 있다. 성기 모양의 금속 봉에 콘돔을 하나씩 끼운 뒤 ... ...
개코원숭이 수컷이 새끼를 죽이는 까닭은?
2014.11.16
정자
를 만드는 기관인 고환의 크기를 키우는 방법을 선택했다. 교미 시 사출하는
정자
의 양을 늘려 자신의 유전자를 물려받은 후손이 태어날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을 쓴 것이다. 새끼를 죽이는 포유류의 수컷들은 버릇 같은 습성 대신 정말 이득이 있을 때만 새끼를 죽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 ...
남성의 상징, Y 염색체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4.10.31
Y’ 유전자 2개만 남겼다. 그런데도 이 생쥐는 정상적으로 자라
정자
를 만들었다. 성숙한
정자
는 아니었지만 인공수정을 통해 새끼를 만들 수 있었고 이 새끼들은 아무런 문제없이 자랐다. Y 염색체에 유전자 2개만 있어도 자손에게 유전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사실이 증명된 셈이다. 이 연구는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결과를 얻었다고. 논문을 보면 유전자가 키에 미치는 영향을 80% 정도로 추측하고 있다.
정자
와 난자 유전자 조합이 정해지면 변화의 여지가 별로 없다는 말이다. ●영양이 개선돼 키가 커졌다? 이처럼 키에 미치는 유전자의 영향이 큼에도 불구하고 우리 주변을 보면 키와 관련해서 ... ...
요즘 대세 쌍둥이, 자꾸 태어나는 이유는?
2014.10.10
난포자극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여성은 한 달에 난자 2개를 내보내고, 이 난자들이 모두
정자
와 수정되면 이란성 쌍둥이가 된다. 여기에 관여하는 유전자로는 지금까지 BMP15, GDF9 등이 발견됐다. 일란성 쌍둥이는 인종, 지역 등에 관계없이 250번 분만할 때마다 한 번꼴로 태어난다. 난자의 노화 ... ...
황우석 줄기세포 스캔들 그 후 10년
2014.09.19
8배반포까지 얻는 데 성공했으며, 2009년 영국 연구팀은 수정란에서 얻은 배아줄기세포로
정자
를 만들기도 했다. 하지만 황 박사가 성공했다고 단언했던 인간배아줄기세포 복제 수준에는 미치지 못했다. 제대로 된 체세포 복제 인간배아줄기세포는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대 교수팀이 2013년 ... ...
잘 되면 제 탓, 못 되면 엄마 탓?
2014.08.25
유전자인 Olfr151이 많이 발현됐다. 즉 아세토페논이 어떤 식으로든 작용해 수컷 생쥐의
정자
게놈에서 Olfr151 부근의 화학적 변이(메틸화 감소)를 일으켜 유전자 발현이 더 잘되게 했고 이 구조변이가 후세에서도 유지됐다는 말이다. 그러나 도대체 어떻게 아세토페논이 자신이 결합하는 단백질의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