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근본"(으)로 총 386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2016.12.30
- 1928년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폴 디랙이 반물질의 존재를 제기하면서 우주의 대칭성에 근본적인 균열이 드러났다. 디랙의 이론에 따르면 빅뱅 이후 우주는 에너지에서 물질과 반물질이 같은 양 생겨나고 소멸하는 공간이어야 하는데 실제로는 물질이 더 많은 것 같기 때문이다. 즉 오늘날 우주의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기사로 대신한다. ★ 제롬 브루너 (1915.10. 1 ~ 2016. 6. 5)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심리학자 제롬 브루너는 여러 실험을 통해 교육이 어린이의 인지발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EDC 제공 한동안 ‘스토리텔링’이 유행했다. 무엇을 말하느냐보다 어떻게 ...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2016.11.09
- 마음을 사로잡는 종교 활동의 본질이라는 것이다(Graham & Haidt, 2010). 이렇게 종교의 근본적 기능을 집단의 화합을 위한 장치로 보고 있는 학자들은 다양한 종교적 ‘의식’들의 기능에도 주목한다. 연구에 의하면 여러 사람들이 싱크로 된 움직임을 할 경우 싱크로 되지 않은 행동을 할 때 비해 상호 ... ...
- 거절에 대한 두려움2016.09.27
- Baumeister 등 학자들에 의하면 인간의 소속 욕구(need to belong)는 식욕, 성욕과도 같은 가장 근본적인 욕구 중 하나이며, 반대로 소속되지 못하는 것, 무리로부터의 영구적인 소외와 거절은 사망선고와도 비슷한 효력을 지녔다. 그러다 보니, 우리들은 소외와 거절을 두려워 한다. 이것들이 일어나기 ... ...
- [타운이 만난 사람들_명사편] 요즈마캠퍼스 김진아 총괄이사2016.09.09
- 대안이라고 보여지는 이런 측면에서 봤을 때 기업가정신의 역량이 국내 창업 청년층에게 근본적으로 그다지 높지 않다고 밖에 볼 수 없는 것 같아요. 하지만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합니다. 창업이라는 것은 쉽지 않은 미지의 것인데, 그를 탐구해 보겠다고 하는 청년들이 많이 있잖아요. 그건 좋은 ... ...
- "광학 이미징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IBS l2016.09.01
- 다중 산란까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한 번 산란된 빛만 이용하면 근본적으로 더 깊은 곳을 관찰하지 못한다"며 "두 번, 세 번 산란된 빛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다면, 이는 패러다임을 바꿀 만한 연구성과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 원리에 대한 증명 ... ...
- 형제자매는 라이벌인가?2016.07.23
- 정도로 여겨 큰 갈등으로 확장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것은 피와 살을 나눈 육친이라는 근본적 동질성을 서로 잘 알기에, 그리고 평생 확정된 그 관계가 불편해지면 가족 관계의 큰 틀이 망가질까봐 서로의 모서리를 드러내지 않으려고 마음먹은 결과일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런 다큐멘터리를 보면 ...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접어들던 메치니코프도 죽음에 대한 두려움이 커졌고 결국 ‘인간은 왜 늙을까?’라는 근본적인 의문을 품게 된다. 훗날 메치니코프는 ‘노인학(gerontology)’라는 용어를 만들기도 했다. 본격적으로 노화연구에 뛰어든 메치니코프는 흥미로운 사실을 깨닫는다. 동물의 수명 데이터를 비교하다 ...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2016.06.28
- 훨씬 진짜 문제는 사회 ‘내부’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 불황이나 정치 불안의 근본적 문제 모두 그 원인이 내부에 있을 수 있는데, ‘공공의 적’이 존재한다는 메시지는 사람들의 눈을 외부로 돌리고 그것만을 비난하게 만들며, 그러는 사이 정작 중요한 내부의 문제는 방치하도록 만들 ...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2016.06.13
- 문득 ‘이렇게 많은 화합물이 있는데 왜 새로운 화합물을 더 만들려고 할까?’라는 근본적인 의문이 떠오르는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즉 기존에 나와 있는 화합물만으로도 유해한 걸 추려내는데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들 텐데 여기에 매년 나오는 수많은 새로운 화합물까지 검토해야 하다니 과연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