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문헌"(으)로 총 3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식의 과학2014.06.16
- 단식법이다. 맷슨 박사는 최근 간헐적 단식을 다룬 책들이 나와 인기를 끈다며 참고문헌에 몇 권을 소개하고 있는데, 검색해보니 두 권은 국내에도 번역돼 있다. 도서관에서 ‘간헐적 단식법’이라는 책을 빌려 봤는데(원서는 ‘The Fast Diet’로 둘 다 2013년 출간됐다) 꽤 흥미로웠다. 알고 보니 ...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2014.06.09
- 아미노산에서 황을 대신해 들어가는 일이 있다. 필자가 지금 짜낼 수 있는 건 여기까지로 문헌을 통해 찾은 나머지 8종은 다음과 같다. ●비소도 실리콘도 필요 원자번호 순서로 보면 먼저 리튬(Li, 3번)이다. 이차전지의 총아인 리튬은 주기율표에서 나트륨, 칼륨과 같은 족(알칼리 금속)에 ... ...
- [이달의 역사]대항해 시대를 연 캡틴 쿡의 일생KISTI l2014.05.14
- 사라지게 만든 원동력이 된 제임스 쿡은 과학적 인물로 기억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탐험과 발견』, 이병철, 아카데미서적, 1989 『탐험사 100장면』, 이병철, 가람기획, 1997 『이타적 과학자』, 프란츠 M. 부에티츠, 서해문집, 2004 「제임스 쿡」, 표정훈, 네이버캐스트, 2009.04.2 ... ...
- 생쥐를 너무 믿지 마세요2014.05.06
- 모르겠다면서도, 당시 대조군(가짜약을 먹은 질병모델 생쥐)의 평균수명이 다른 문헌의 대조군 수명보다 20일 가량 짧다는 사실에 뭔가가 있다고 추정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오류를 피할 수 있을까. 페린 박사는 몇 가지 제안을 했는데, 먼저 보고자 하는 질병과 무관하게 죽은 실험동물은 ...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8
- kg의 네 번째 운석이 발견되면서 스포트라이트가 옮겨졌다. 아마 훗날 진주운석을 언급할 문헌은 ‘무게 20.9kg인 국내 최대 운석을 비롯해 운석이 네 개 발견됐고…’라는 식으로 적지 않을까. 그런데 무리 가운데 두 번째로 큰 게 주인공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가 있으니 바로 태양계 ...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생각이 떠오른다. 그는 당연히 그런 아이디어를 실현한 논문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문헌을 뒤져봐도 찾을 수 없었다. 결국 자신이 그 일을 해보기로 결심하고 1981년 여름 예비실험으로 지도교수 몰래 정육점에서 사온 소의 간을 오븐에 넣고 고온에서 건조시켜 ‘속성 미라’를 만든 뒤 DNA를 ...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동아사이언스 l2014.03.24
- 결국 맥거프 교수는 책을 보여줬지만 프라이스는 책이 잘못된다고 버텼다. 결국 다른 문헌으로 확인해보자 책이 틀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06년 맥거프 교수는 학술지 ‘뉴로케이스’에 프라이스의 사례를 보고하면서 ‘과잉기억증후군(hyperthymestic syndrome)’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 ...
- 영화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진실은 어디까지?동아사이언스 l2014.03.13
- 박차고 나간 뒤 방황한다. 결국 일주일 뒤 대학 도서관에서 주간지 ‘타임’ 등 여러 문헌을 보고 호모가 아니더라도 에이즈바이러스(HIV)에 감염될 수 있음을 알게 된다. 당시는 에이즈가 바이러스질환임이 밝혀진 지 불과 1, 2년 밖에 안 된 시점이었고 유력한 에이즈치료제 후보인 AZT의 임상이 ... ...
- 커피는 정말 피부의 적일까동아사이언스 l2014.01.13
- 써먹기도 했다(가운데 그림). 오히려 지금도 이 그림의 원작자를 힐로 소개하는 문헌이 많다. 아무튼 보링은 감각과 지각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로 명성을 쌓았는데, 그가 1942년 펴낸 책 ‘실험심리학 역사에서의 감각과 지각’은 이 분야의 명저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책에는 대중들이 ...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동아사이언스 l2013.10.30
-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지를 시험하는 방법을 다룬 작업이었다. 에임스 테스트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던 이 팔자 좋은 여인은 1986년 어느 날 기발한 아이디어를 떠올린다. 임신 초기 입덧을 하는 건 태아 형성기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 물질을 거부하려는 행동이라는 해석이다. 이렇게 시작된 ... ...
이전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