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장기간
스페셜
"
오랜기간
"(으)로 총 291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새로운 혁신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트랜지스터가 발명된 이후 반도체는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다른 어느 분야의 기술보다도 빠른 진보를 보인 반도체 분야의 혁신은 ‘무어의 법칙’이라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오랜 기간 꾸준히 계속됐다. ‘무어의 법칙’이란 인텔의 공동창업자 고든 무어(Gordon Moore)가 주창한 것으로 ‘반도 ... ...
기술 벤처가 살아남는 모범적인 방법
KOITA
l
2013.04.26
모든 소비재 시장 중 가장 변화가 빠른 분야는 아마도 모바일 관련 시장일 것이다. 고작 5년 전인 2008년만 하더라도 스마트폰은 극소수 얼리어댑터들이 ‘갖고 놀기 좋은’ 기기 취급을 받곤 했다. 그러나 2013년 현재 스마트폰은 이동통신의 주력상품이자 IT 기술의 최전선으로 대접받는다. 최신 스 ... ...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9
박한오 바이오니아 사장이 자사에서 개발 중인 분자진단 건강검진 기계 옆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분자 진단을 이용하면 질병을 초기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속도로 대량의 분자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스티브 잡스는 아무리 좋 ... ...
“중복투자 왜 문제되나? 경쟁을 통해 더 좋은 성과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2.05.21
라승용 농진청 농업과학원장이 16일 ‘바이오선진화!‘ 인터뷰를 통해 농업생명공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풀어냈다. 농촌진흥청 제공 “2000년에 ‘바이오그린21’ 과제를 추진하려고 국회에 100번도 넘게 갔어요. 그 때 국회의원들에게 ‘지금까지 삽으로 하던 일을 포크레인으로 해 보겠다’고 했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2000년대 바이오산업을 의약품 벤처가 주도했다면, 앞으로는 대규모 바이오화학 기업이 이끌어 나갈 겁니다. 정부가 의지를 갖고 투자한다면 20년 뒤에는 원유 대신 미생물로 만든 우리나라의 친환경 플라스틱이 세계 시장에 널리 퍼질 지도 모르죠.” 정준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본부장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국내 생명공학(BT) 산업은 2009년 기준 5조6362억원 규모로 추정하고 있다. 2000년 1조1795억원 규모에서 10년 동안 5배 가까이 고속 성장한 것이다.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도 지난해 1조4383억원으로 2000년(2462억원) 당시에 비해 약 7배 증가했다. 하지만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이 같은 성장 ... ...
“연구 집중하는 임상교수 많아야 세계적 의대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5.23
“국내 의대의 연구 수준이 지금보다 높아져야 합니다. 생명과학 분야가 갖는 국제 경쟁력을 못 따라가는 상황이에요. 임상의(臨床醫) 교수들이 보다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을 해줘야 합니다.”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중견석좌교수(47)는 나노입자 분야의 세계적인 화학자다.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4.05
한국 생명공학(BT) 분야는 최근 산업화 단계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BT 연구성과가 꾸준히 쌓이고 사업화 성과도 늘고 있다. 특히 대기업들이 본격 진출하고 있다”며 “BT는 이제 사이언스에서 테크놀로지를 거쳐 국가 기간산업으로 가는 중간단계에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8.24
“국가 연구과제는 장기적 안목으로 끝까지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자들이 유행 따라서 주제를 바꾸면 안 됩니다. 인기 없는 분야라도 필요하다면 지원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송지용 프런티어 연구성과지원센터장(60)은 화학공학 박사로 선경합섬, 대우엔지니어링, LG생명공학 등에서 30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육종은 국가 차원에서 추진해야 합니다. 육종은 생물종의 다양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신성장동력을 창출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임광수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여러 세대에 걸친 육종을 통해 만든 다양한 형질을 가진 종은 단기간의 기술로는 절대 쫓아올 수 없다”며 “생물종과 ... ...
이전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