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년제
전문대
스페셜
"
2년제
"(으)로 총 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코로나19 . 렌슬러공대 제공 이 글을 쓰고 있는 2020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로 전 세계가 고통받고 있다. 이 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로, 그 이전에 맹위를 떨쳤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이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와 사 ... ...
[주말N수학]항공우주 영상 분석 뒷받침하는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08.15
하늘에 떠 있는 인공위성은 하루 종일 지구 곳곳을 촬영한다. 최근에는 드론 기술이 발달하면서 드론을 이용한 항공 촬영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런 먼 거리 촬영 영상을 용도에 맞게 분석하려면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여기에 수학을 활용하는 회사가 있는데, 수학 박사학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GET 컨퍼런스에서 한 연사가 1953년 DNA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직후 모형을 설명하는 프랜시스 크릭(오른쪽 위)과 이를 올려다보는 제임스 왓슨(왼쪽 위)의 모습이 담긴 유명한 사진을 스크린에 비추자 올 해 82세인 왓슨(왼쪽 아래)이 사진속의 크릭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크릭은 88세인 2004년 사망 ... ...
[과학게시판] '수리모델 통한 방역정책 분석' 워크숍 14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제공 ■ 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대한수학회가 공동 운영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수리모델링 태스크포스는 ‘수리모델을 통한 코로나19 방역정책 분석’을 주제로 두 번째 정기 온라인 워크숍을 이달 14일 오후 4시 대전 유성구 수리연에서 연다. 이종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2019년 4월 처음 관측된 블랙홀의 모습. 공개된 이미지에서 아랫부분은 밝고 윗부분은 어두운데, 아랫부분이 관측자인 지구로 향하는 빛이고, 윗부분이 지구에서 멀어지는 빛이기 때문이다. 굉장히 빠른 속도로 가스가 회전한 탓에 도플러 효과가 극대화된 것이다. EHT 제공 19세기가 남긴 또 하나의 ... ...
건설 기술도 멋진 스타트업 창업 아이디어가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화재가 발생할 때 스프링클러가 다른 스프링클러의 오작동을 일으켜 큰 피해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른 스프링클러에서 나온 물이 다른 스프링클러를 식혀 가동되지 않는 스키핑 현상이다. 파이어버스터는 메인 스프링클러가 작동하면 다른 스프링클러도 강제로 작 ... ...
코로나19 혼란 속에서 괴물이 크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결핵균을 전자 현미경으로 확대했다. 위키피디아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사태와 더불어 매년 150만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결핵이 퍼지고 있다. 한국은 결핵 감염률이 유달리 높은 국가로 코로나19와 결핵으로 인한 이중고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국은 1996년부터 줄곧 경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1986년에 관측된 핼리혜성. 위키피디아 제공 76년에 한 번씩 지구 가까이 다가오는 핼리혜성은 인간에겐 경이로운 존재이다. 하필이면 그 주기가 보통 사람의 수명과 얼추 비슷해서 일생에 딱 한 번 볼 수 있다는 우연의 일치가 참 매력적이다. 핼리혜성에 에드먼드 핼리(1656~1742)의 이름이 붙은 것은 ... ...
[과학게시판] KIOST-한국야쿠르트 해양미세조류 유래 추출물 MOU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KIOST 제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지난 15일 부산 영도구 본원에서 한국야쿠르트와 해양미세조류 유래 추출물을 활용한 인지기능 개선 소재 산업화의 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양 기관은 공동연구 협력과 인프라 공동 협력, 활용 및 인적 교류 등에 ... ...
국내 연구진 북극 극초미세먼지 발생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북극해상에 떠 있는 빙하 조각들.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시베리아 북쪽에 이르는 북극해 하늘에서 검출되는 극초미세먼지는 인간 활동보다는 북극해 연안의 동토지대와 강에서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물질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지속되면 북극 지역의 극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