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단
교단
단상
단편
지휘대
단
설교단
d라이브러리
"
강단
"(으)로 총 3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06
해주겠다”고 밝혔다. 젊은이의 가치관이 무너지면 한국의 미래는 없다는 위기감이 그를
강단
에 서도록 한 셈이다.그는 문과와 이과가 인위적으로 나뉜 한국의 교육 제도에도 일침을 가했다. 그가 학생 신분으로 외국 대학에 다니며 가장 부러웠던 점 중 하나는 공대가 대학의 허브 역할을 한다는 ... ...
과학으로 베일 벗는 한국 고대사
과학동아
l
200409
계산까지 한걸 보면 그가 보통의 관심으로 책을 낸게 아님을 눈치 챌 수 있다. “처음
강단
에서 교양과목을 맡게 됐을 때 시중에 나와 있는 천문학 교양도서를 모두 사봤어요. 그런데 30여권에 이르는 책 중에서 내용이 좋다고 인정할만한 것은 고사하고 전문가인 제가 봐도 이해가 안되는 내용이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킴 스티렐니 박사의 좌우에 앉아있다.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일지…. 사회자가 먼저
강단
에 올라선다. 사회자(스티렐니): 오늘은 런던에서 인사를 드립니다. 혹시 왜 하필 이곳 런던정경대학(LSE)의 강당에서 다윈의 식탁 마지막 날을 진행하는지 궁금해하실지 모르겠습니다. 다윈의 식탁을 어떻게 ... ...
참을 수 없는 호기심과 정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211
리처드 파인만에 대한 얘기다. 노벨상을 수상할만큼 학문적인 업적이 탁월하면서도
강단
의 권위를 좇기보다는, 누구나 과학을 즐기고 함께 대화하고 토론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애썼던 파인만의 철학과 연구자세를 엿볼 수 있다.파인만은 과학을 연구하는 진정한 기쁨은 발견의 즐거움에 ... ...
성지식 과잉세대를 위한 맞춤 강의
과학동아
l
200206
푹 숙이고 곁눈질로 힐끔힐끔 엿보고 있던 여학생들도 이 대목에선 눈을 동그랗게 뜬채
강단
을 쳐다본다.일반적으로 남녀사이에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피임도구는 콘돔이다. 하지만 대부분 제대로 된 사용법을 몰라 피임에 실패한 뒤, 인생의 황금기를 고민과 좌절로 보내기 일쑤. 그는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03
할 9살, 2살의 어린 두딸이 있었다. 그녀는 곧 본연의 강인함을 되찾고, 소르본대의
강단
에 섰으며 1908년 소르본대 최초의 여성교수가 됐다. 1911년 그녀는 두번째로 노벨상을 단독 수상했다. 노벨 화학상의 수상 이유는 라듐과 폴로늄의 발견과 각 원소의 성질에 관한 연구로 화학 분야 진보에의 ... ...
글 잘 쓰는 과학자가 성공할 확률 높다
과학동아
l
200202
것은 처음에는 정말 의외였다.이 책은 윌리엄 스트렁크라는 대학 교수가 1919년에
강단
에서 작문을 가르치면서 만들었던 강의록을 그의 제자이자 작가인 E. B. 화이트가 수정해 40년 뒤에 만든 것이다. 글은 간결하고 짧게, 두개의 문장을 절대 붙여서 길게 쓰지 말고, 수동형은 피하고, 불필요한 단어는 ... ...
휠체어의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과학동아
l
200010
청와대에서 한 것과 같은 내용의 강연회를 또 한차례 가졌다. 전날보다 건강한 모습으로
강단
에 선 그는 강연 후에도 질문이 있다면 얼마든 답할 수 있다며 여유를 보였다.이날 기자는 3년 반 동안 호킹 교수를 돌보아 온 간호사 자퀴 오델(53)씨를 만나 그의 일상생활에 대해 물어 보았다. “한국의 ... ...
산개성단으로 치장한 카시오페이아
과학동아
l
199509
20여년 전 9월 초저녁이었을 것이다. 그 소년은 커서 천문학을 전공했고 지금은 외국
강단
에서 천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이 별자리는 9월 밤이 깊어가면 천의 북극을 돌아 정말 M이 된다.신화에 나온 것처럼 카시오페이아는 이디오피아의 여왕이며 궁수-독수리-백조-카시오페이아-페르세우스-마차부 ... ...
학문과 제자 기르기에 삶의 보람을…
과학동아
l
199507
미국 브라운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귀국해 경희대학교 교수로 부임했을 당시, 대학
강단
에서의 활동을 막 시작한 나는 그야말로 열과 성을 대해 물리학 강의와 연구에 몰입했다.그 당시 대학에는 연구시설이 빈약했던 터라 태릉에 있던 원자력연구소의 핵자기공명장치를 이용해 아미노산과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