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기"(으)로 총 2,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08
- 방을 보면 그 사람의 취향이나 관심사를 알 수 있다.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은 철지난 음반이나 악기 모형을 장식해 놓고, 야구를 좋아하는 사람은 응원하는 팀의 마스코트나 유명 선수의 사인이 적힌 야구공을 두기도 한다.햇살이 따스하게 쏟아지던 6월에 만난 윤아람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 ...
- Part 1.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707
- ‘안아키’와 ‘안예모’를 들어봤는가. 안아키는 ‘약 안 쓰고 아이 키우기(이하 안아키)’, 안예모는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한 모임(이하 안예모)’이다. 이름만 봐서는 아이를 건강하게 키우기 위한 모임으로 보인다. 그런데 최근 이들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이들은 백신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07
- 채 9시가 되지 않은 밤이었다. 신도시의 주공 아파트 단지로 우주선 한 대가 진입했다. 인류의 역사에서는 처음 있었던 일이지만 우주선의 크기가 만두 가게에서 쓰는 쟁반 크기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게 우주선인지 알아 채고 놀라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심지어 아파트 8동의 경비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06
- 식문화는 대륙마다, 나라마다 다르다. 예로부터 빵은 주로 서양에서 주식으로 먹었다. 하지만 지금은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밥 대신 빵을 먹는다. 인류는 언제부터 빵을 먹기 시작했을까. 빵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탄생했을까. 어디로부터 어디로 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6
- 첫 번째 질문 남자는 하나, 여자는 둘?세포 수준에서 남성과 여성의 가장 큰 차이점은 성염색체입니다. 남성은 XY, 여성은 XX를 갖고 있는데요. 여기서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여성이 남성보다 X염색체를 하나 더 갖고 있기 때문에, X염색체에 있는 유전자가 여성에게서 두 배로 발현될 수 있다는 점 ... ...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과학동아 l201705
-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앓고 있는 병으로 잘 알려진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망가지는 병이다. 아직까지 이 병이 어떤 원인으로 생기는지 모르며, 치료법도 찾지 못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파민이 작용하는 신경세포만 망가지는 파킨슨병도 원인이나 치료법을 알지 못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05
- 1전차 안에는 운전사와 미나를 빼고도 아직 다섯 명의 승객들이 남아있었다. 시골에서 처음 올라왔는지 창에 얼굴을 박고 신기한 듯 주변의 콘크리트 건물들을 올려다보고 있는 전통의상 차림의 남자 노인 두 명, 태블릿으로 지루해보이는 서류들을 건성으로 체크하고 있는 회색 공무원 제복 차림 ... ...
- [쇼킹 사이언스] 거대 ‘꼬부기’ 무리가 나타났다?! 모에라키 바위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뉴질랜드 남서쪽의 ‘코에코헤 해변’에 가면 재미있는 풍경이 펼쳐져요. 바닷가를 따라 거북이 등딱지 같은 동글동글한 물체가 늘어서 있거든요. 게임 ‘포켓몬고’의 ‘꼬부기’라도 잔뜩 나타난 걸까요?사실 이 무리의 정체는 거대한 바위들이에요. 작은 것은 지름이 0.5~1m, 큰 것은 지름이 2.7m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05
- 지금까지 명실상부한 장수의 민족은 일본이었다. 하지만 지난 2월, 2030년 한국인의 평균 기대수명이 일본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는 연구 결과가 영국 의학저널 ‘랜싯’에 발표됐다. 심지어 여성의 기대수명은 연구자들 사이에서 마의 장벽이라 불리는 90세를 넘긴 90.82세였다1).세계적인 장수 국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05
- 웨이블릿 변환의 역사는 약 200년 전 프랑스의 수학자 조제프 푸리에가 등장한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푸리에가 만든 ‘푸리에 변환’이 웨이블릿 변환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푸리에 변환은 신호를 주파수별로 분해한 뒤 재조합하는 수학 이론이다. 임경수 서강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푸리에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