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소
탄핵
기소
분쟁
신고
소송
범죄 신고
d라이브러리
"
고발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익스트림 서프라이즈 평화를 사랑한 수학자
수학동아
l
201306
공산주의와 조금이라도 관련되면 빨갱이 냄새가 난다고 하여
고발
했다. 그런데 그가
고발
한 사람 중에는 이름만 대면 누구나 아는 저명한 수학자도 있다. 과연 누굴까?1952년, 헝가리의 수학자 폴 에르되시는 네덜란드에서 열린 수학 세미나를 끝내고 미국으로 돌아오고 있었다. 그런데 입국이 쉽지 ... ...
신나는 과학잡지 만들기
과학동아
l
201304
사진도 있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은폐돼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교내 살인 사건의 내부
고발
인 걸까(너무 놀라지 마시길. 기사 작성을 위해 연출된 사진이다).사진을 보낸 사람은 인천 영선고 과학동아리 아톰(ATOM)의 기장 최정수 학생(3학년). 보내준 사진들은 전국 생명과학 연합동아리 ‘하이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02
잘못 해석하는 오류를 범했기 때문입니다. 납득이 잘 안 된다고요? 그럼 안재수 양이
고발
한 대학에서 발표한 합격자 통계를 좀 더 자세히 살펴 봅시다. 이 통계를 보면 놀랍게도 경영학과와 한의예과를 제외한 모든 학과에서 여학생 합격률이 더 높다. 뿐만 아니라 경영학과와 한의예과의 여학생 ... ...
고발
합니다! 스마트폰은 유죄 ?무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1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는데 요, 최근 과학특별시 지방법원에서는 이와 비슷한 ‘휴대전화
고발
사건’에 대해 이렇게 판결한 선례가 있습니다. 당시 법원에 서는 휴대전화를 절제하지 못하고 마구 사용한 잘못이 더 크다고 보고, 원고인 어린이에게 아홉 가지 사항을 권고 조치했습니다.과학특별시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04
사랑, 헌신의 상징이 잔혹한 전쟁의 자금을 대는 데 이용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영화는
고발
했다.다이아몬드는 지표면에서 약 150~200km 아래 있는 탄소 원자들이 수만 기압의 조건에서 1500℃ 이상으로 가열돼 만들어진다. 탄소가 다이아몬드로 변하는 데 적합한 지층을 다이아몬드 안정화 지대라고 ... ...
니코틴보다 무서운 첨가제가 200개나
과학동아
l
201104
브라운 앤 윌리엄슨(B&W)의 수석과학자 및 부사장 제프리 와이겐드 박사가 대표적인 내부
고발
자다. 1992년 그는 담배회사가 ‘쿠머린’이라는 화학물질을 담배의 첨가제로 사용한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쿠머린은 A급 발암물질로 미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이 1954년에 사용을 금지했다.그는 회사에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02
TV
고발
프로그램에서 집중포화를 받았습니다. 나름대로 지방줄기세포 분 야에서는 최고의 기술력을 갖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었는데….”환자 자신의 지방조직에 포함된 줄기세포를 추출해 증식시킨 뒤 환자에게 다시 넣어주는 ‘자가유래줄기세포 치료’를 연구하고 있는 알앤엘바이오의 라정찬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11
끌리기 마련이다. 과거 식품회사 세일즈맨이었다가 회사를 나와 식품업계의 이면을
고발
한 일본의 아베 쓰카사가 2005년 펴낸 자신의 책 제목을 ‘인간이 만든 위대한 속임수 식품첨가물’이라고 지은 이유를 알 만하다.식품매장, 친환경과 무첨가가 대세 요즘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식품매장에 ... ...
유기농이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09
저자는 제약회사가 이윤을 추구하기 위해 신약의 효능을 과대포장하고 있다고
고발
한다. 1990년대 말 관절염 진통제로 인기를 모았던 비옥스가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약회사의 이윤추구를 위해 지속적으로 판매됐던 사례를 들었다. 저자는 약 하나를 복용하더라도 약의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노트북 배터리 화재 사고는 크게 늘었다. 제품 회사별로 보고된 사례나 인터넷을 통해
고발
된 사례를 합치면 그 수는 집계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기술표준원이나 한국소비자원 등 관련기관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뚜렷한 폭발원인과 책임소재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