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꾸기
사육
번식
키우기
d라이브러리
"
기르기
"(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있어요. 그래서 지금으로부터 약 1만 년 전인 기원전 8000년경부터 서아시아에서 가축으로
기르기
시작했어요. 사람들은 맛있는 고기와 폭신한 털, 치즈나 버터 등의 유제품을 만들 수 있는 젖을 얻기 위해 양의 품종을 늘려 왔지요. 그 결과 지금 지구상에서 살아가는 양의 품종은 무려 1000여 ... ...
Part 4. 쓰레기가 동물을 먹여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1
도시에 사는 집비둘기의 조상은 지중해 연안에 사는 ‘바위비둘기’야. 바위비둘기는
기르기
쉽고 집으로 돌아오는 귀소본능이 강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기원전 5000년부터 애완용 집비둘기나 편지를 나르는 ‘전서구’로 길들였어. 유럽 사람들은 비둘기를 교배해서 아름다운 깃털을 자랑하기도 ... ...
[시사] CHIHULY 유리와 자연의 입맞춤
수학동아
l
201411
정원으로 지금 바로 떠나 보자.온실 속 화초보통 온실은 더운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을
기르기
위해 따뜻하다. 그런데 여기 차가운 온실이 있다. 바로 치훌리의 ‘글라스하우스(glasshouse)’다. 이 온실 안에는 더운 지방의 식물 대신 유리로 된 꽃이 벽면을 타고 넝쿨을 이루고 있다. 글라스하우스는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10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다면, 사람의 생각만으로도 모든 걸 통제할수 있다.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특정 공식에 따라 A, B, C 등 정해진 요소를 단순히 더하고 곱한다고 해서 융합형 인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융합형 인재가 무엇이라고 정의를 내리는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07
10~25g 밖에 안 된답니다. 성인 남자 손 위에는 두 마리도 거뜬히 올라가지요. 크기가 작아
기르기
가 매우 편리하답니다. 좁은 실험실에서 사육하기 좋은 동물이지요. 사실 마우스라고 해서 다 같은 마우스가 아닙니다. 과학자들은 1900년대 초반부터 마우스를 교배해 실험에 이상적인 모델을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07
우리는 새장에 갇힌 새와 우리 인류사이의 유사성을 본다. 우리는 노래뿐만 아니라,
기르기
쉽고 자식을 잘 기른다는 점 때문에 십자매를 길러왔다. 포식이나 먹이 채집 등 야생의 위험에서 해방시켰다. 잡종 교배의 걱정도 사라졌다. 그 결과 십자매를 둘러싸고 있던 다른 도태압은 사라졌고, 대신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
과학동아
l
201402
관찰만 해서는 그들의 일상을 면밀히 파악하기 쉽지 않았다.그러다 2007년 까치를 직접
기르기
시작했다. 그때부터 까치의 진면목이 보이기 시작했다. 까치는 필자를 두려워하지 않고 일상생활을 하기 시작했고, 흥미진진한 행동 역시 서슴지 않고 보여주게 됐다. 어떤 동물에 대해 진정으로 이해하게 ... ...
남해를 찾은 귀한 손님 ‘팔색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5
팔색조가 번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어요. 팔색조는 여름철새로 새끼를 낳아
기르기
위해 매년 5월경 우리나라를 찾지요. 숲속의 어두운 바위틈이나 바위 위에 둥지를 틀고 알을 4~6개 낳아요. 이번에 찾은 둥지도 어둡고 습기가 많은 숲속 돌무더기 위에 있었답니다.팔색조는 최근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교환하고 상대의 냄새를 맡는다. 그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상대가 함께 지내며 아이를
기르기
에 적합한 사람인지 판단한다는 것이다. 괜찮은 사람인 것 같아서 만났는데 막상 키스를 해 보니 느낌이 오지 않는다면 혹시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닐까?한편으로는 과거 먹이를 채집할 때 빨갛게 잘 익은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10
살아야 하는가는 또 그 나름의 과제인 것이다. 이것은 너를 위한 이야기다.사야는 너를
기르기
위해 지구로 왔다. 네 어머니가 되어주었다. 지구의 방식으로 너를 길렀다. 언어와 기호가 있는 세상으로 데리고 와 주었다. 우리의 소통방식을 배우러 왔다. 너를 배우고자 했다. 말을 배운 적도 글자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