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첩함
민활
재빠름
날램
신속함
솜씨 좋음
d라이브러리
"
기민함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이저 프린터
과학동아
l
199510
엄청난 소음을 내며 사무실을 떠들썩하게 만들던 도트프린터가 잉크젯 방식의 프린터에 밀려난 것은 불과 2-3년 전의 일이다. 그러나 이 잉크젯 방식마저도 빠른 속도와 높은 인쇄 품질을 자랑하는 레이저 프린터에 그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고성능·고가 기종으로 인식되어 온 레이저프린터가 최근 ... ...
스포츠의 절정- 기록단축 비결
과학동아
l
199501
결과에 따르면 세계 정상의 도전자들에게도 한계는 있다. 신체적 인내력과 정신적
기민함
의 한계 때문에 바이올린 연주자이든 역도선수이든 간에 보통 하루 4시간 이상은 힘든 연습을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훈련도 '정도껏'"올림픽 역도선수를 훈련시킬 때 우리는 종종 연습시간을 줄여야만 했다.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12
바람이 불고 맑았다 흐렸다 하며, 비나 눈이 내리는 등 시시각각으로 일기는 변한다. 1년 동안의 이러한 일기 변화 모습은 각 지역에 따라 다르며, 그 지역의 특징적인 기후가 나타난다.엊그제만 해도 대낮에는 셔츠를 벗어던질 정도의 무덥던 날씨였는데, 어느새 주변의 낙엽과 꽃들이 하나 둘 지고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01
삽살개는 다른 한국개 및 외국개 품종들과 주성분 분석에서 잘 분리됐다. 이는 외적 형태 크기 체형 비율에서 삽살개가 고유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을 시사해주는 것이다.싸움터에 삽살개를 데리고 다녔다는 김유신장군의 이야기나 중국 구화산에서 성불했다는 신라왕손 김교각스님의 일대기중에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07
서울대공원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백두산호랑이 한 쌍을 들여올 계획인데, 중국쪽 백두산에서 잡은 것이거나 그 후예라면 우리 국토의 최근 거리에서 얻은 개체란 것만으로도 반가운 일이다. 호랑이는 생존지역 접경을 넘나들며 살기 때문이다.약4천3백만년 전(제3기 시신세)에 번영해 있던 미아키스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11
지름 12㎝ 두께 1.2㎜의 광디스크에 4백페이지짜리 책 6백권 분량의 정보를 기억하는 CD롬. 멀티미디어의 핵심으로 지목되는 이 전자책이 2000년간 인류문화의 증거물이었던 종이매체를 대신할 것인가.종이를 대신할 전자책의 시대가 올 것 인가.2000년간 인류문화의 증거물로 자리잡아온 종이매체가 ... ...
3. 하반기 판매경쟁 치열할 듯
과학동아
l
199105
life cycle)이 바뀌는 컴퓨터기술의 혁신에 한치도 틈도 두지않고 곧바로 적응하는
기민함
에 거듭 놀랐다고 한다.현재 일본의 노트북 시장규모는 연간 50만대. 89년 도시바의 다이나북이 빅히트를 하기 전까지는 제대로 된 노트북제품이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점을 상기하면 깜짝 놀랄 ... ...
곤충 날개의 구조와 특성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102
우리가 곤충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아직까지 인간이 흉내내지 못하는 곤충의 독특한 기술이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나는 기술'이다. 인간이 최첨단 전투기를 가지고 아무리 박진감 넘치는 에어쇼를 펼친다해도 아직까지 곤충들의 '나는 기술'은 흉내내지 못하고 있다.영국 에크센터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11
그들의 지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훈련과 경험을 통해 달라질 수 있다.1959년 12월 나는 미국의 마이애미에 있는 수족관에 간 적이 있다. 그곳에서 처음으로 돌고래가 지휘자의 신호에 따라 여러가지 묘기를 부리는 것을 보았다. 참 영리한 동물이라고 감탄하면서 흥미롭게 구경했던 기억이 지금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12
코를 제외하고는 온몸이 긴 털로 덮여 있어 「작은 사자」같은 우리의 삽사리는 이제 멸종의 위기를 맞고 있다.삽사리는 동양권에서는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외모와 성품을 지닌 우리 고유의 토종개로서 조상들의 정감에 밀접히 연루되어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의 일부이다. 최근 서양문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