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즈막한 담장
벽
윗부분
가드레일
d라이브러리
"
난간
"(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
과학동아
l
201312
뚫고 한강으로 떨어졌던 것이다. 김 교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차도와
난간
사이에 방호울타리를 설치하면 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서울시에 제안했다.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 사고가 현저히 줄어들어 다른 교량에도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났다. 우리 사회의 ... ...
황금바다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302
가로지르는 여정은 친환경적으로 만든 나무다리에서 시작해 나무다리에서 끝난다.
난간
이 없어 불안해 보이지만, 물 깊이가 30cm 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굳이 필요하지 않다. 또 갈대숲 사이로 뻗어나간 다리 자체가 고즈넉한 옛 나루터를 떠올리게 한다.나무다리를 건널 때 갈대숲 속에서 ...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09
DARPA)과 함께 로보너트1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우주정거장 외부의
난간
에 매달려 작업하거나 2개 또는 4개의 바퀴가 달린 형태로 개발했다. 특히 바퀴가 4개 달린 로보너트1은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사람 상체에 말 하체가 합쳐진 괴물을 닮아 ‘켄타우루스1’이라 불렸다. 켄타우루스1은 달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06
무덤이던 2호 고분으로, 이곳에서는 미라가 발굴되지 않았다. 관람객들의 안전을 위해
난간
을 설치한 것을 빼면 발굴당시 모습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한국엔 회곽묘, 중국엔 점토묘기자가 마왕퇴 미라와 유적지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한국미라와 생성 원인이 비슷하기 때문이다. 마왕퇴 유적지 같은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10
사람이 있다. 당신은 스위치를 눌러야 할까. 문제를 조금 바꿔서 이번에는 철로 위 다리
난간
에 기대 있는 덩치 큰 사람을 밀면 인부들을 구할 수 있다고 하자. 당신은 그 사람을 밀어야할까.“사람이 짐승과 다른 건 부끄러움을 안다는 것이다.”비겁한 행동이나 염치없는 짓을 했을 때 흔히 듣는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어렸을 때부터 호기심이 많아 무모한 실험을 많이 했답니다. 다섯 살 때는 집의
난간
높이를 재려다가 바깥뜰로 떨어져 팔이 부러졌어요. 또 한 번은 기름의 일종인 케로신을 갖고 실험하다가 불을 내기도 했대요. 그의 부모님은 비록 가난했지만 자녀 교육을 잘 시키기 위해 항상 애썼다고 해요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9
참조)’을 가로지르는 다리예요. 다리가 철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다리
난간
을 금속 느낌이 나는 색으로 칠한 것이 보이지요?이 그림은 친구들이 길을 가다 멋진 다리를 보고 찍은 사진처럼 평범해 보여요. 하지만 당시에는 굉장히 특이한 그림 가운데 하나였답니다. 왜냐하면 이렇게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05
때부터 호기심에 사로잡혀 무모한 실험을 많이 했던 ‘호기심 소녀’였다. 5살 때 집
난간
의 높이를 재려다가 바깥뜰로 떨어져 팔이 부러졌고, 등유의 일종인 케로신을 갖고 실험을 하다 불을 낸 적도 있다. 요나트 박사는 자신이 리보솜 구조 연구를 시작한 계기도 ‘세포의 일생에서 중요한 것은 ... ...
신비로운 구름, 오색 채운
과학동아
l
201005
하루는 (양소유가) 한림원에서
난간
에 지어 붙인 글귀를 읊으며 달을 구경하는데, 갑자기 바람결에 퉁소 소리가 들리거늘 하인을 불러 말하였다. “이 소리가 어디서 나느냐?” 하인이 말하였다. “확실히는 모르겠지만 달이 밝고 바람이 순하면 때때로 들립니다.” 한림(양소유)이 손 안에 백옥 ... ...
서울시립대 마이크로로봇 연구회 ‘제틴’
과학동아
l
200811
쓴 뒤 흡입구로 먼지를 빨아들인다. 원재승(04학번) 씨는 “적외선센서로 계단이나
난간
을 인식하고 초음파로 벽 위치를 알아내 피한다”고 말했다.D 가는거야방송인 노홍철의 유행어 ‘가는거야~’에서 따온 이름. 이름의 덕을 본 걸까. 윤상필(07학번) 씨의 ‘가는거야’는 지난 아주대 대회에서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