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농업기술"(으)로 총 41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09
- 불.가.능.파란 장미의 꽃말이다. 파란 장미는 자연적으로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의 위스키 제조회사인 산토리(Suntory)와 호주 벤처인 플로리진(florigene)이 유전자를 조작해 파란 장미를 만들었지만, 실제 색깔은 파랗다기 보다는 연보라에 가깝다. 아직까지 진정한 의미의 파란 장미는 탄생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06
- 노리치(Norwich)라는 도시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잉글랜드 축구 팬들은 노리치 시티 FC의 연고지로 잘 아시겠죠. 런던에서 북동쪽으로 약 160km 떨어져 있는 노리치는 영국에서 중세의 모습을 가장 많이 간직한 도시입니다. 노르만족이 900여 년 전에 세운 노리치 대성당 등 고색창연한 성당이 많아 ‘성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05
- 해양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우리나라는 올 7월부터 치약이나 세정제에 미세플라스틱 사용이 전면 금지된다. 해양수산부는 2015년부터 전국 바다의 양식장에 스티로폼 알갱이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부표 보급 지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 ... ...
- [Origin]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과학동아 l201704
- 시안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입니다. 주나라 문왕부터 한나라, 당나라까지 13개 왕조의 수도를 거친 3000년의 고도이죠. 고대 동서 무역로인 실크로드의 시발점이기도 한 시안에는 병마용, 진시황릉, 시안성벽 그리고 양귀비와 당헌종의 사랑이야기가 내려오는 화청지 등 볼거리가 다양합니다.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03
-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 때문에 발생했다는 가설에 과학자들은 얼마나 동의할까. 답은 약 97%다. 온난화를 주제로 쓴 논문 11만9494편의 초록을 호주, 미국, 영국 등 6개 연구팀이 분석해 얻은 비교적 정확한 숫자다(논문➊). 이것은 언뜻 모두가 동의하는 것처럼 보이나, 뒤집어 보면 3%의 과학자는 여 ... ...
- [과학뉴스] 에너지 없이 지붕 식히는 필름?과학동아 l201703
- 효율을 1~2%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전력산업, 항공우주기술, 농업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 2월 9일자에 발표됐다 ...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과학동아 l201701
- 맑은 날 하늘을 보면 수많은 비행기구름이 여기저기 낙서처럼 그어져 있다. 가느다란 것도 있지만 굵게 그려진 것도 있고, 하늘을 길게 가르는 것도 있다. 그런데 이 비행기구름이 지구에 ‘죽음의 그림자’를 드리울지도 모른다. 모든 생명의 원천인 햇빛 을 가 림으로써 말이다. 2001년 9월 11일. ...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01
- 메이커 페어의 창립자 데일 도허티는 메이커 문화에서 중요한 세 가지 요소로 ‘즐기고(Play) 연습하고(Practice) 참여하는(Participation)하는’ 것을 꼽았다. 2016년 월드 메이커 페어 역시 이 말에 충실했다. 메이커들은 자신들이 무언가를 만드는 과정을 즐겼고, 실패에서 배우면서 끊임없이 노력해 완성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12
- 늦가을 프랑스 파리의 아침은 낭만적이고 아름다울것이란 기대와 달리 춥고 우중충했다. 10월 3일 기자는 유럽 최고의 소비자 드론기업 ‘패럿(Parrot)’의 본사를 국내 언론 최초로 방문했다. 파리 북동쪽 자우레역에 내려 ‘패럿’까지 걸어가는 제마프 강둑은 파리 10구, 대표적인 빈민가였다. 안개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09
-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학자와 환경단체 사이의 갈등이야 간혹 있어왔던 일이지만, 이렇게 노벨상 수상자들이 단체로 환경단체의 활동을 비판하고 나선 건 이례적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