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돌파구"(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07
- 만한 수준이다. 여기에 도전하던 수학자들의 좌절이 이어지던 가운데 100여 년 만에 첫 돌파구를 연 사람은 오일러였다. 1753년 오일러는 허수(i)를 도입해 n=3, n=4일 때의 풀이를 증명했다. 그 뒤로 n이 특정 정수일 때 이를 만족하는 정수해가 없다는 사실이 차례로 밝혀졌다. 하지만 모든 n에 대해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하기 때문에 윤리적으로도 연구가 어려웠다.과학자들은 ‘오가노이드(organoid)’로 돌파구를 찾았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조직과 비슷한 기능을 할 수 있는 3차원 세포 집합체다. 체외에서도 체내와 비슷한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도와준다.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은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04
- 개별적인 실체로 나타나지 않는다.양자 얽힘, 그리고 ‘창발’하는 시간새로운 돌파구는, 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나서야 나왔다. ‘양자 얽힘’ 현상에 기반한 아이디어였다. 사고실험을 해보자. 상자 안에 빨간 알약과 파란 알약이 있다. 보지 않은 채로 하나만 꺼내 아주 멀리, 가령 빛의 속도로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04
- 것은 60년 넘게 핵융합 연구를 이어오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 특히 실험적으로 돌파구를 연 것이 1982년 독일 ASDEX 토카막에서 발견된 ‘H-모드 플라스마’다. H-모드는 난류는 낮고 에너지 감금시간은 긴 고성능 핵융합 플라스마다. 핵융합 연구자들은 H-모드가 만들어질 때 플라스마의 흐름이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04
- 스타크래프트를 비롯한 RTS게임을 연구했던 연구자들도 오랫동안 이런 문제를 겪어왔다.돌파구가 열린 것은 2010년이다. 해커들이 스타크래프트 I의 인공지능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낸 것이다. 해킹 기술로 임의의 인공지능 코드를 삽입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스타크래프트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03
- 있다. 만약 우주 초기 중력파를 관측할 수 있게 되면 힘의 통합과 관련된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될 수도 있다. 우주의 95%를 채우고 있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도 중력파로 연구할 수 있는 대상이다.앞으로 더 많은 중력파 검출기가 만들어지면 인류는 우주를 더욱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는 눈을 ...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1601
- 너무 작다. 물리학자들은 중성미자를 관측해 ‘CP대칭성’이 깨지는 현상을 관측했고,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다(CP대칭성에 대한 내용은 4파트 참고).3. 5%를 넘어, 26.8%를 찾아라미국 천문학자 베라 루빈은 은하를 구성하는 별들이 은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회전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11
- 중성미자 변환에 대해 온전히 이해할 수 있게 됐다. 해결해야 할 또 다른 난제에 대한 돌파구도 생겼다. 우주에 물질만이 존재하고 반물질이 없어진 이유, 즉 CP 대칭성 깨짐 문제와 중성미자의 질량 순서를 결정하는 문제다. 필자의 연구팀도 중성미자의 질량 순서를 결정하는 실험을 계획하고 있다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11
- 공로는 ‘세포가 손상된 DNA를 어떻게 복구하는지 밝혀, 새로운 항암제 개발에 돌파구를 제공한 것’으로 요약된다.DNA 안정성에 의문을 품다1938년생인 토마스 린달 교수는 1960년대 말 ‘DNA의 안정성’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했다. 당시 린달은 박사후연구원으로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DNA의 사촌격인 ... ...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과학동아 l201508
- 진화론의 ‘적자생존’이 무색하다. 영국의 이론진화생물학자 존 메이너드 스미스가 돌파구를 마련했다. 그는 1973년 ‘진화적 안정 전략’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집단 구성원들이 경쟁자의 대응에 따라 최선의 선택을 하면 서로가 자신의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는 ‘내시 균형’을 수정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