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망원경"(으)로 총 1,47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08
- 않으면 어떤 환경인지 알 수가 없었다.지구에서 146.3광년 떨어진 A9813e처럼 말이다. 망원경으로 관측한 A9813e는 완벽한 후보였지만 30년 전 도착해서 보니 테라포밍할 수 없는 곳이었다. 대기 조성은 완벽했지만 토착 생물이 문제였다. 노란색 식물들이 행성 전역에서 쉴 새 없이 독성 포자를 뿜어대고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08
- 2021년에 국제우주정거장에 설치되고, 이는 우리나라가 만든 최초의 우주태양망원경이 될 것이다.봉수찬_scbong@kasi.re.kr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박사후연구원과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태양 ... ...
- [과학뉴스] 목성 극지에서 발견한 거대한 소용돌이들과학동아 l201707
- 남북극 지역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목성의 적도 부근에 대해서는 망원경 관측을 통해서 잘 알려져 있었지만 극지방의 대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다.연구팀은 극지방의 대기 운동이 매우 활발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수많은 거대 소용돌이가 몰아치는 목성의 극지방은 ... ...
- Part 3. 사나이 가는 길을 막는 건 누구?과학동아 l201707
- 5. 나팔관 엄친아 정자는 또 죽었어요. 파죽지세로 피임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망원경을 들며) 자세히 보니까 꼬리 모양이 좀 이상합니다. 꼬리가 위 아래로 힘차게 움직여야 하는데, 허리가 구부러진 것처럼 머리와 꼬리가 맞닿아있어요. 무언가가 정자 꼬리에 칼슘이 공급되는 걸 막은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06
- 이미지.연구팀은 이 행성이 항성을 지나갈 때 항성의 빛을 일부 막는 현상을 이용했다.망원경이 인식하는 빛 신호는 오차 때문에 위아래로 요동친다. 연구팀은 실제 빛의 함수를 추정하기 위해 하모니 서치로 신호값과 함숫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함수를 구했다. 서로 도우며 최적을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진, 지구질량 외계행성 발견!과학동아 l201706
- 분석해 외계행성(OGLE-2016-BLG-1195Lb)의 존재를 발견했다. 그런 뒤 NASA의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과 공동 관측해 행성의 질량과 지구로부터의 거리 등 물리적 특성을 알아냈다.이번에 발견한 외계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1.43배다. 중심별까지의 거리는 1.16AU(약 1억7000만 km)로 지구 태양 간 거리(1AU, 1억500 ...
- [과학뉴스]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과학동아 l201705
- 밝혀지지 않았다.논문의 제1저자이자 교신저자인 김효선 연구원은 칠레에 설치된 전파망원경 간섭계를 이용해서 별 주변 물질을 촬영했다. 그 모습을 컴퓨터로 재구성해 3차원 구조를 추정한 결과, 실제로는 4~5겹의 양파 껍질 같은 구조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06년에 알려진 모습은 입체적인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05
- 분자가 우주에서부터 진화했을 것이라는 가설에는 과학자들 대부분이 동의한다. 적외선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해보면 실제로 다양한 분자들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구에 떨어진 운석만 보더라도 포름알데히드, 일산화탄소, 물, 암모니아, 탄소고리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유기분자들이 ... ...
- [과학뉴스] 고양이 발바닥과 랍스터가 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하지만 당시의 망원경으로는 성운들의 대략적인 위치 정도만 판단할 수 있었지요.망원경으로 본 두 성운이 모두 밝고 선명해서 지구와 가깝게 있는 것처럼 느껴져요. 하지만 실제로 고양이 발 성운은 지구로부터 5500광년, 랍스터 성운은 8000광년 정도 떨어져 있답니다.이 성운들에는 새롭게 태어난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05
- 한 것이다. 그 외에도 응용 컴퓨터 분석과 데이터 압축, 의학 이미지, 디지털 영상, 허블망원경의 해상도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쓰였다. 2016년에 크게 화제가 됐던 중력파 검출도 중력파에 적합한 웨이블릿 함수를 만들어 관측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성과였다.한 분야를 집요하게 파고들어 얻은 7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