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멸종"(으)로 총 8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알고 보면 느림보, 티라노사우루스수학동아 l201709
- 하늘을 나는 동물은 약 10kg 이하일 때 가장 빨랐어요. 티라노사우루스: 그럴 리가! 그건 멸종되지 않은 동물을 대상으로 한 분석이니까 나 같은 공룡은 해당되지 않아요! 우사인 볼트: 훗~. 연구팀은 동물 데이터를 이용해 몸무게와 가속 시간을 알면 최고 속도를 구할 수 있는 수학 모델을 ... ...
- [과학뉴스] 이것이 지구 최초의 꽃과학동아 l201709
- 현존하는 속씨식물의 63개 목과 372개 과를 선택해 792개 종을 골랐다. 그리고 이미 멸종한 속씨식물 화석 137점과 함께 관찰해 꽃의 생김새에 대한 데이터를 1만3444개 얻었다. 이를 통해 꽃잎과 암술, 수술의 모양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흐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속씨식물이 진화하면서 꽃덮개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부리를 휘저어 먹이를 찾는 저어새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하얀 새가 긴 부리로 물고기를 잡고 있어요. 부리를 물속에서 휘저어 새우나 물고기를 사냥하는 저어새예요. 이 새는 대만이나 일본 남쪽 지역에서 겨울을 보내고 따뜻해지는 4월쯤 우리나라로 와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서해안의 갯벌과 연안에 가까운 습지를 따라서 살다가, 알을 낳을 때가 되면 ... ...
- [DJ CHO의 롤링수톤] 자우림의 ‘17171771’ 숫자 암호와 사랑 고백수학동아 l201709
- 소유를 문제 삼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에 이르러 거의 멸종해 버립니다. 짧은 시간 무엇보다 화려하게 빛나는 전성기를 보낸 삐삐는 그렇게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왜 사라졌냐고요? 삐삐는 무선호출기로 요즘 휴대폰과 달리 수신만 가능한 기기였습니다. 수신만 ... ...
- [과학뉴스] 쥐라기 하늘에서 ‘좀 날렸던’ 포유류과학동아 l201709
- 새롭게 발견된 화석이 날다람쥐(유대류), 박쥐(태반 포유류)와는 관계없는 새로운 멸종 포유류라고 결론지었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화석은 쇄골이 단단하고 치골이 조류의 모양과 유사하다”며 “비행 시 어깨의 움직임이 달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038/nature23483, doi:10.1038/nature2347 ... ...
- [현장취재] 올해도 신나게 지사탐 GO! 지구사랑탐사대 5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08
- 연구팀과 함께 하고 있지요. 오통스 연구원은 “지사탐과 같은 시민과학 활동은 멸종위기종의 현재 상태를 알고 생명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하다”고 말했어요.지사탐을 돕는 아마추어 연구자 모임인 ‘어벤저스’도 빠질 수 없겠죠? 민물고기 탐사를 이끌고 있는 성무성 어벤저스는 탐사용 ... ...
- [과학뉴스] 호박 속에 생생하게 남은 9900만 년 전 아기 새과학동아 l201708
- 것일까. 날카롭게 뻗은 발톱이 선명하다. 화석 속 주인공은 백악기 말기에 공룡과 함께 멸종한 것으로 알려진 새의 먼 조상 ‘에난티오르니테스(enantiornithes)’다.이 화석은 특별하게도 두개골과 목, 다리, 날개 등의 연조직과 골조직이 거의 완벽하게 보존됐다. 중국지구과학대 생물지질학 및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08
- 보죠. 토양 샘플, 정확히는 탄화된 나무에서 발견된 겁니다. 보시다시피 토착 생명체는 멸종하지 않았어요. 지금 이 순간에도 맹렬한 속도로 재생하고 있죠. 지금 이 행성은 지구 생명체와 토착 생명체가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곳에 우리가 들어간다면 어찌 될까요. 과연 우리 같은 작고 연약한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08
- 바퀴벌레를 실내에서 효과적으로 내쫓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3억 년 넘게 멸종되지 않았을 만큼 강인한 생명력을 연구한 뒤 이를 역이용해 퇴치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니 아이러니하다. 이와 반대로 다른 곤충에 비해 발이 빠르고, 몸을 납작하게 만들 수 있다는 특성을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07
- 고기를 잡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어린 명태까지 마구잡이로 잡아 명태가 멸종 위기에 놓인 것이지요. 그렇다면 얼마나 잡아야 생선이 고갈되지 않을까요?국립수산과학원과 정일효 부산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생선 알의 부화율, 성장률, 사망 비율, 기존 어획량, 수온의 변화, 플랑크톤과 작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