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 항공 우주국"(으)로 총 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분석하면 어떤 모기인지 구분할 수 있어요.한편,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도 ‘글로브 옵서버(Globe Observer)’ 앱을 통해 모기 서식지 지도를 작성하는 시민과학을 시작 했어요. 시민들은 동네에 살고 있는 모기의 유충을 찍어 앱에 올리면 돼요. 그럼 이 정보를 모아 전세계 모기 서식지 지도를 작성하고, ... ...
- Part 1. [탐사일지] 태양 탐사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리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파이어니어 계획’을 실행했지요. 이때 달 탐사를 시작으로 여러 행성과 태양에 탐사선을 보냈는데, 1959년 발사한 ‘파이어니어 5호’가 최초의 태양 탐사선이에요. 그리고 NASA는 1965년부터 1968년까지 1년 간격으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2
- 가는 연료 무게만 해도 상당하니까요.그래서 미국 항공우주국은 좀 더 개량된 식물재배장치(APH)를 실험하고 있어요. APH는 빨강, 파랑, 초록색, 흰색 LED와 적외선 빛을 이용해요. 게다가 기존 식물재배장치보다 4배 정도 강한 빛으로 식물이 더욱 빠르게 자라도록 하지요.또한 APH는 자동화된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대신인간이 버린 해양 쓰레기는 늘어났어요.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 총량이 무려 1억 5500만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했어요. 이 정도면 전세계 해안을 따라 두께 30cm, 높이 30m의 쓰레기 벽을 쌓을 수 있는 규모랍니다.그 결과 최근 1~2년 사이, 해양 ...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과학동아 l201709
- edu미국 스탠포드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거쳐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미국 헬리콥터학회 부회장, 한국 드론산업진흥협회 부회장이며 아시아·호주 헬리콥터 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 ‘지금이 내 인생의 터닝 포인트’, ‘인성본성탐구 및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09
- 윌리엄 게르스텐마이어 부위원장은 올해 5월 미국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에서 “EM-1 미션에 앞서 SLS에 장착될 방열판과 오리온 우주선의 비상탈출 시스템 등을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SLS는 RS-25 액체추진체엔진 4기와 고체 로켓 부스터 2개로 달까지 이동할 강한 추진력을 얻는다. EM-1 미션의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09
- 설치된 하이퍼루프원의 시험 주행 트랙.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관제실을 축소한 듯한 공간에서 20~30명이 숨을 죽이고 모니터를 쳐다보고 있다. 카운트다운이 끝나자 모니터에 자동차처럼 생긴 물체가 미끄러지듯 레일을 따라 지나가는 모습이 나타났다. 곧이어 마치 우주 탐사선 발사에 ... ...
- [과학뉴스] 우주 건축물 건설 기술 대회, 한국 우승과학동아 l201708
- 챌린지’ 2단계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주최하는 센티니얼 챌린지는 총 3단계로 이뤄지는데, 1단계에서는 디자인, 이번 2단계에서는 우주 현지 재료를 활용해 구조물을 짓는 첨단기술을 겨뤘다. 문 엑스 컨스트럭션 팀은 현무암질의 월면 복제토와, 재활용 플라스틱의 한 ... ...
- [Issue] 미국 개기일식, 과학자들도 ‘스탠바이’과학동아 l201708
- 새로 만들었다.아미르 카스피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존슨우주센터의 연구용 비행기인 WB-57 두 대를 이용할 계획이다. 각 비행기에 초당 30장의 영상을 고속으로 촬영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해 한 대는 적외선, 다른 한 대는 가시광선에서 코로나를 관측한다. 이를 이용해 코로나에서 일반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08
- 바람, 온도, 그리고 대기광의 세기를 잰다. 1991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UARS(Upper Atmosphere Research Satellite) 위성에 실려 발사됐고, 이후 2003년까지 지구 대기권의 사진 2000만 장을 수집했다.임무가 종료된 당시에 WINDII의 대기광 수직분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기광의 강도는 위치와 장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