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도"(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과학동아 l201610
- 아마 지금까지 소개한 것들 가운데 가장 신기하고 놀라운 악기일 것이다. 요리재료도, 건반도, 현도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철냄비를 두드리는 것만으로도 음계가 들리기 때문이다!비밀은 냄비가 찌그러진 정도. 두드리는 부분이 얼마만큼 찌그러졌느냐에 따라 음의 높이가 다르다. 투박한 ... ...
- [과학뉴스] 사해 소금으로 다시 태어난 환상의 드레스과학동아 l201610
- 아라비아 반도 북서부에 있는 한 호수는 소금이 지나치게 많은 탓에 생명이 살 수 없어 ‘죽은 바다(사해)’라는 이름을 갖게 됐다. 바닷물 1L당 소금 함유량이 30~40g인데, 사해는 200g이 넘는다. 이스라엘의 설치예술가 시갈리트 란다우는 사해를 배경으로 다양한 예술작품을 만든다. 2014년에는 사해가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10
- 2016년 7월 5일자에 발표했다.렌 교수팀은 데칸고원 용암대지의 연대를 측정한 결과 유카탄반도의 운석충돌 시기와 맞물려 있었으며, 데칸고원 화산의 70% 정도가 분출했을 때 운석충돌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했다. 피터슨 교수팀은 데칸고원의 화산폭발로 지구 기온이 7~10°C 가량 올라갔고, 뒤이어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09
- 나서 한참 동안 이러커고 멍하게 앉아 있었어. 커피도 맨날 타 놓고서는 그냥, 깜-빡해서 반도 못 마시고 다 버렸어. 엄마는 커피 식으면 맛이 없어서.”“희한한 거 만드신 거야?”“외할머니? 그럼. 어디 가서 살 수 있는 건 절대 안 만드셨으니까. 외할머니 성격에 아주, 질색을 하셨지. 남들이 더 잘 ... ...
- [과학뉴스] 2099년, 아델리펭귄이 위험하다과학동아 l201608
- 악영향을 미친다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서남극반도를 따라 아델리펭귄 개체수가 눈에 띄게 감소했다. 또 이 자료를 지구 기후변화 모델에 적용했더니, 아델리펭귄의 개체수가 2060년까지 현재의 최대 43%, 2099년까지는 최대 64%로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08
- Laurentia) 대륙과 유라시아(Eurasia) 대륙(현재의 유라시아 대륙에서 인도와 아라비아 반도를 제외한 부분)으로 구성돼 있었다.그런데 쥐라기 말인 약 1억5000만 년 전, 로렌시아와 유라시아 사이에 갑자기 균열이 생겼다. 첫 균열은 로라시아 대륙의 북서쪽, 오늘날 알래스카 부근에서 시작됐다. 대륙의 ... ...
- [과학뉴스] 낙타 유전자 다양성의 비결은 ‘여행’과학동아 l201606
- 멸종한 야생 단봉낙타의 뼈에서 DNA를 채취해 현대의 단봉낙타와 비교한 결과, 아라비아 반도최남단에서 낙타가 최초로 가축화된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야생 단봉낙타는 가축화가 일어난 뒤 약 2000년 뒤에 멸종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
- [과학뉴스] 불의 고리과학동아 l201605
- 일어난 뜨거운 지역이죠. 태평양 남서쪽 뉴질랜드에서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 캄차카반도, 알류샨 열도,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등 태평양 외곽을 둥그렇게 둘러싸고 있어 불의 ‘고리’라고 부릅니다. 길이만 4만km가 넘고, 인접한 화산의 숫자는 450개에 이릅니다. 우리나라도 간접적으로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05
- 있다”고 덧붙였다.이 연구원이 소속된 극지연구소는 미국해양대기청(NOAA)과 함께 남극반도 인근에 수중음향관측망을 설치해 연구 중이다. 2005년부터 2009년까지 관측된 소리로 밝힌 극지의 여러 현상을 작년 ‘플로스원’에 발표했다(doi: 10.1371/journal.pone.0123425). 이 연구원은 “향후 30년간 ... ...
- [News & Issue] 스콜레사이트(Scolecite) 인도에서 온 붉은 원숭이과학동아 l201603
- 데칸고원은 침식과 풍화로 지금은 당초 면적의 절반 정도만 남아 있다. 하지만 아직도 한반도의 두 배가 넘는 50만㎢의 광활한 지역이다. 풍화된 지역은 토양 성분이 비옥해져 세계적인 면화 생산지가 됐지만, 현무암지대는 경제적으로 특별한 매력이 없다. 도로 포장 및 건축 재료로 쓸 암석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