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분별
비합리성
barrie
barry
d라이브러리
"
배리
"(으)로 총 2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12
결과로서 진정한 의미에서 최초의 뉴로피드백 실험이라 할 수 있다.1971년 미국 UCLA의
배리
스터먼 박사는 SMR파(뇌의 감각운동피질에서 발생하는 12~16Hz의 뇌파)를 이용한 뉴로피드백으로 간질병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이것은 세계 최초로 뉴로피드백을 질병 치료에 적용한 사례다. 1976년에 미국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11
여성에게 새로운 해결책을 제공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세계적인 성 의학 연구자
배리
코미사룩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교수. 성과 신경 손상, 통증과 치료에 대한 연구를 한 지 40년이 됐다. 현재 럿거스대 대학원 원장을 맡고 있다.]킨제이 보고서 틀렸나코미사룩 교수는 여러모로 20세기에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07
경기를 통해 능력이 있는 선수는 상위 리그로 진출한다. 이런 마이너리그 시스템은
배리
본즈, 새미 소사 등과 같은 뛰어난 선수를 배출하기도 했다.‘추추트레인’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한국을 대표하는 추신수 선수 역시 루키 단계부터 시작해 동양인 최초로 타자 부문에서 *20-20 클럽에 ... ...
수학으로 고대인구 계산한다
과학동아
l
201106
부패하거나 사라지기 때문에 인구가 증가한 것처럼 보인다는 주장도 있다.존슨 교수는
배리
브룩 호주 아델레이드대 교수와 함께 수학 모델링 기법을 사용했다. 사람이 떠나 거주지가 비면 흔적은 점차 사라지게 돼 있다는 점에 착안해 호주 전역에 있는 바위 거주지 300개가량을 조사해 거주 흔적이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09
볼 수 있다. 과학동아 편집장 출신의 저자가 알기 쉽게 해설한다.3차원의 기적수전
배리
지음 | 김미선 옮김 | 초록물고기 | 320쪽 | 1만 3000원어렸을 적부터 사시였던 탓에 입체시를 보지 못했던 한 신경과학자의 이야기다. 2차원으로만 세상을 보던 그가 시훈련치료를 하던 어느 날 급작스럽게 3차원 ... ...
문학적 상상력으로 허수 정복하기
과학동아
l
200805
허수 |
배리
마주르 지음 | 박병철 옮김 | 승산 | 271쪽 | 1만 2000원PROLOGUE수학은 인류의 가장 오래된 대화 수단들 중 하나이며, 몇몇 문제의 답을 찾았다고 해서 박수를 받으며퇴장하지 않는다. 수학사의 가장 소중한 해답들은 더 깊은 질문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일 뿐이다.▒ 자연수, 정수, 유리수, ... ...
내 몸속 미생물 동물원
과학동아
l
200704
지배적이었다. 그런데 호주 로얄멜버른 병원 로빈 워렌 박사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배리
마샬 박사가 통념을 깼다. 워렌 박사와 마샬 박사는 1979년 위 속에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라는 미생물이 살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이 공로로 1995년 노벨 의학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헬리코박터는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11
대표적 사례는 지난해 노벨생리의학상 업적이다.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의대
배리
마셜 교수는 1982년 5일간 부활절 휴가를 지낸 뒤 실험실에 돌아와 보니 방치해뒀던 위 점막 샘플에서 박테리아가 자라있는 걸 발견했다. 이것이 위궤양을 일으키는 원인균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다. 마셜 ... ...
누가 가장 많은 홈런을 칠까
과학동아
l
200611
메이저리그 최다 홈런기록(755개)에도 불과 20여개만을 남겨두고 있는 상태다. 과연
배리
본즈는 은퇴시점까지 몇개의 홈런을 더 기록할까.본즈, 내년말 메이저 최고기록 넘을듯운동선수의 실력(또는 성적)은 일정한 경향성을 보인다. 프로에 데뷔한 뒤 적응기간을 거쳐 그 기량이 점차 성장해 ... ...
3. 위장을 점령한 난폭한 미생물
과학동아
l
200511
원인균임을 처음으로 증명한 호주의 병리학자 로빈 워런(68)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대
배리
마셜(54) 교수가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부활절 휴가가 가져온 노벨상헬리코박터균은 2~7마이크로미터(1μm=100만분의 1m) 크기로 여러 개의 꼬리(편모)를 갖고 있어 점액층 속을 이리저리 헤엄치며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