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척
배제
척거
제외
d라이브러리
"
배타
"(으)로 총 82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05
후 7월까지 수심 2000m 이상 동해에서 연구장비의 안정성을 시험하고 8~9월엔 미크로네시아
배타
적경제수역(EEZ)으로 나가 수심 6000m 이상에서 최종적으로 심해 탐사 장비들의 성능을 검사할 예정이다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
과학동아
l
201504
대한 흥미를 일으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누군가 EXID드립을 보고 ‘파울리의
배타
원리’가 뭔지 궁금해서 찾아본다면 그것도 나름 의미 있는 일 아닐까요?” 드립 |애드리브의 준말. 온라인에서 어처구니없는 발언을 보통 ‘드립’이라고 표현. 너드 |지능이 뛰어나지만 사회성이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과학동아
l
201405
되어 사실상 자유로워진다.실제는 조금 더 복잡하다. 우선 어떤 물질의 밴드에 파울리의
배타
원리에 따라 전자를 차곡차곡 채울 수 있다(INSIDE 참조). 물질에게 가능한 최고 에너지까지 가득 차면 부도체가 되고, 다 채우지 못하면 도체가 된다. 전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려면 밴드에 조금이라도 빈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
수학동아
l
201402
지난해 12월 중 한 주는 옥스퍼드대 입학 면접시험이 이뤄지는 기간이었다. 올해 옥스퍼드대 수학과 입학시험의 합격자 대다수는 세계 방방곡곡에서 지원한 유학생 ... 하버드대에서 교편을 잡고 활약하고 있다. 자기 문화에 대한 애착이 수학과 결합될 때는
배타
적인 이유도 없나 보다 ... ...
PART 2. 천재들의 엉뚱한 행동, 세상을 바꾼 괴짜들
과학동아
l
201304
물리학상을 수상한 볼프강 파울리는 20세기 초 이론물리학을 이끌어갔던 거장이야. 그가
배타
원리를 발표한 것은 고작 24세 때였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원자의 전자껍질 구조를 확립하게 한 아주 중요한 법칙이야. 어릴 때부터 신동으로 불렸고 18세에 뮌헨대에 입학했을 때는 이미 일반상대론을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01
더욱 포괄적이고 정확하며 정교한 이론이다.그러나 뉴턴역학과 현대물리학이 서로
배타
적인 것만은 아니다.중력이 약한 경우에는 일반상대성이론이 뉴턴역학과 같아지고,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특수상대성이론이 뉴턴역학과 같아지며, 물체가 큰 경우에는 양자역학이 뉴턴역학과 같아진다.이런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
과학동아
l
201301
배타
적 경제수역까지는 권리를 인정해주겠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대륙변계의 끝이
배타
적 경제수역을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 주로 이 때가 문제다.대륙변계는 연안국에게 ‘육지의 연장’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시 말하면 바다를 가진 나라는 길이에 상관없이 자국의 연안에서 뻗어 나간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01
일정하지 않지만 사람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다. 완벽하게 개방되지는 않으면서도 집끼리
배타
적이지 않게 쌓아올렸다.이 회장은 주민들의 돌담 쌓는 기술은 최고라고 말한다. “지금도 담이 무너지면 마을 주민들이 직접 담을 정비해요. 이렇게 아무렇게나 생긴 돌을 흔들리지 않고 탄탄하게 쌓는 ... ...
가위 바위 보의 생태학
과학동아
l
201110
그런데 바다에서는 엄청나게 다양한 종의 플랑크톤이 엄연히 공존하고 있다. 경쟁
배타
의 원리가 적용되지 않는 것이다. 이를 ‘플랑크톤 역설(paradox of the plankton)’이라고 부른다.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두 종만 경쟁시킨다는 건 가위만 내는 사람과 바위만 내는 사람을 시합시키는 것과 같다. ... ...
문화의 힘, 유전자보다 강하다
과학동아
l
201108
친구란 동창의 다른 이름”이라며 “동창회, 향우회가 끈끈한 이유는 그것이 일종의
배타
적 속성을 띠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김 교수는 지난 봄 발생한 일본 쓰나미와 원자력발전소 방사능 유출사고 과정에서 일본인들이 보여준 ‘경이로운’ 인내심도 문화의 경직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