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문"(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취재] 놀면서 배우는 행복한 로봇 축제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6개 팀이 선발됐어요. 초급 부문에는 똑똑한멍청이들, 드림알파, 상추, 스피드런이, 중급 부문에는 달래와 아이로비 두 팀이 올라왔답니다.“우리 팀 잘한다! 우승은 우리 것!”결승전답게 응원의 목소리가 경기장 천장이 날아갈 정도로 쩌렁쩌렁 울려 퍼졌어요. 치열했던 로봇 퍼포먼스 결승전이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만날 수 있을 거예요.코드마스터에 웬 노벨상 이야기냐고요? 사실 노벨상에 컴퓨터 관련 부문은 없어요. 하지만 컴퓨터 프로그램을 잘 만들어서 노벨상을 탄 예가 있답니다. 그것도 무려 두 번이나요!1998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미국 노스웨스턴대 화학과 존 포플 교수와 산타바바라캘리포니아대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11
- 칼리지에 입학했는데, 입학한 지 2년 만에 케임브리지대 우등 졸업 인증 시험에서 수학 부문 4등을 했다.하디는 수학계에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특히 많은 수학자를 미치게 한 리만 가설에서도 중요한 사실을 밝혀냈다. 무한히 많은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이 일직선 위에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11
- 끝까지 응하는 사람 자체가 좀 이상한 사람이라고요. 거 뭐시냐, 갤럽 회장도 여론조사 부문에서 아예 손을 떼겠다고 하지 않았나요?”나는 얼마 전에 읽은 기사를 떠올리며 그렇게 쏘아붙였다.“그건 갤럽 회장이 생각이 짧아서 그런 거죠. 여론조사는 미래 모든 산업의 핵심이 될 겁니다.”아아,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10
- 데이터를 수집해 연구비 항목을 집중 분석했다. 우선 2000년부터 2015년까지 노벨상 과학부문(물리, 화학, 생리·의학) 수상자 123명의 수상 핵심 업적에 해당하는 논문 161편을 모았다(2000~2008년 성과는 기존 논문 doi:10.1096/fj.09-148239의 결과를 참고). 논문 저자가 자신이 받은 도움에 대해 기록하는 이른바 ...
- 제 15회 전국학생 과학논술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초·중·고생이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어요. 대회는 과학 논술과 과학 독후감 두 부문으로 진행된답니다. 과학 논술은 지정논제에 대해서, 과학 독후감은 지정도서를 읽고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해 글을 쓰면 돼요.초등부 대상 수상자에게는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상과 함께 상금 30만 원이, 금상 ... ...
- [과학뉴스] ‘덕밍아웃’으로 본 포켓몬 고 열풍과학동아 l201608
-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최근 변하기 시작했다. 헤럴드경제와 SK플래닛 광고부문이 2014년 1월부터 10월까지 덕후와 관련된 키워드를 빅데이터로 분석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덕후는 ‘행복’, ‘인생’, ‘사랑’ 같은 긍정적인 키워드와 연관이 있었다. 덕후의 본래 장점인 전문성에 대한 ... ...
- [Tech & Fun] 기후변화, 인류에겐 새로운 기회?과학동아 l201607
- 선정되기도 했다.저자가 파악한 현실은 기대(?)보다 참담하다. ‘하필 이런 때(1부)’공공 부문의 민영화가 진행되면서 탄소 제로형 서비스에 대한 투자는 더욱 요원해지고 있다. 대형 환경단체는 사실 각종 화석연료를 채취하는 기업과 불편한 커넥션을 형성하고 있으며, 탄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06
- 올해 2월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제품 디자인으로 ‘IF 디자인 어워드 2016’에서 제품 부문 본상을 받았다. 독일의 레드닷과 IF는 미국의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로 꼽힌다.특히 이번에 수상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미국의 ‘2015 스파크 어워드’와 ‘2015 대한민국 굿디자인’에도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05
- 이게 나름 우리 팀의 자부심인데, 외국 팀들은 전공에 맞는 친구들이 한다. 소프트웨어 부문은 컴퓨터 관련 학과생이 만든다. 우리는 컴퓨터에 관심 있는 생물학 전공 친구들이 모여 머리를 맞대고 하나씩 배워가며 완성한 거다. 이런 게 진정한 융합학문 아니겠나(웃음).지원 금메달을 받은 걸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