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북두성
칠성
쟁기
d라이브러리
"
북두칠성
"(으)로 총 92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두칠성
미자르
과학동아
l
200708
물을 다 쏟아버린
북두칠성
을 좀더 자세히 관찰해보자. 시력과 관찰력이 뛰어난 사람은
북두칠성
을 이루는 별 7개 가운데 두 눈을 의심케 하는 별 하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게 하나야, 둘 이야?’이중성 연구의 ‘보물창고’바가지의 손잡이 부분 끝에서 두 번째 있는 별을 자세히 살펴보자. ... ...
견우성은 독수리자리에 없다
과학동아
l
200707
한다. 전통시대에는 남두육성이 인간의 수명을 관장한다고 믿었다.소동파는 28수는 물론,
북두칠성
이나 남두육성의 유래와 위치까지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달이 별자리 사이를 움직여가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었다. 오늘날 우리는 별자리에 대한 지식을 얼마나 갖추고 있을까. 글짓기나 ... ...
2000년을 넘나드는 별지기
과학동아
l
200511
남다른 별사랑에서 미래의 희망을 찾는다.“우리 조상들은 관 밑에 까는 널빤지에
북두칠성
을 본따 일곱 개의 구멍을 뚫고 칠성판이라고 불렀지요. 그만큼 한민족은 별을 사랑하는 민족이었습니다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01
° 남짓이나 될 전망이다. 3등급이라면 북극성보다 약간 어두울 정도이며, 꼬리길이 10°는
북두칠성
길이의 절반에 해당한다. 또 혜성의 머리 부분인 코마가 상당히 크게 보일 것으로 전망되므로 날씨가 좋은 곳에서는 자정무렵 밤하늘 천정 높은 곳에 한쪽으로 어두운 꼬리가 나부끼는 둥근 솜사탕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09
북두칠성
과 남두육성은 바로 도교의 천문우주론적 사상이 반영된 것이다. 고구려인들은
북두칠성
과 남두육성을 통해 생사의 두 세계에서 영원한 삶이 지속되기를 바랬던 것이다.고구려의 북두와 남두의 대칭적 우주관은 중국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덕흥리고분보다 1백60년 정도 뒤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03
북두칠성
의 국자 손잡이 부분은 직선이 아니라 약간 굽은 곡선인데 이 곡선을 따라
북두칠성
길이 만큼 연장한다. 그러면 매우 밝은 별에 이르게 되는데 이 별이 바로 아크투르스이다. 아크투르스는 올해 봄하늘에서 목성 다음으로 가장 밝은 별이다.아크투르스를 찾았으면 이제 목동자리를 ... ...
별밭에 숨어 있는 보물 석호성운
과학동아
l
200309
있다. 때로는 남두육성으로 불리기도 하는데 궁수자리를 이루는 별 여섯개를 이어보면
북두칠성
과 유사한 모습이 되므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이 궁수자리의 주전자 주둥이 끝에는 은하수가 매우 진한 부분이 있으며 이곳이 바로 우리 은하의 중심이다. 이곳은 궁수가 겨누고 있는 활의 끝부분에 ... ...
봄철 대표하는 은하 한쌍 M81과 M82
과학동아
l
200304
북두칠성
을 길잡이로 해 찾아간다. 두 은하는
북두칠성
의 국자 머리부분에 위치해 있다.
북두칠성
의 세번째 별인 감마(γ)별과 첫번째 별인 알파(α)별을 이은 간격만큼 알파별 방향으로 연결시키면 이들 은하가 위치한 지역에 이르게 된다. 안타깝게도 이 지역에는 뚜렷한 지표가 될 만한 밝은 별이 ... ...
가을 저녁 펼쳐지는 달과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209
별들이 국자 모습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이 별들은 북쪽하늘에 있는
북두칠성
보다 규모가 작긴 하지만 그 모습이 대단히 유사하다. 이런 이유로 이 여섯개의 별은 오래 전부터 남두육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려 왔다. 여름철 은하수는 이 남두육성 국자에서 쏟아진 물과 수증기처럼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07
약 40° 가량 동쪽에 있다.하늘에서 각거리인 40°는 어느 정도일까. 밤하늘에서라면
북두칠성
의 경우 국자 머리부터 자루까지의 거리가 약 25°이고, 오리온자리에서는 사각형의 긴 변 길이가 약 20° 가량 된다. 또 팔을 쭉 뻗고 손을 자연스럽게 펼쳤을 때 손바닥 한뼘이 보이는 만큼의 거리가 약 20°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