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정확
비정밀
애매함
d라이브러리
"
불명확
"(으)로 총 36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03
유력했지만 지금은 전국 여러 지자체가 발 벗고 나서 유치전을 벌이면서 건설 장소가
불명확
해졌다. 다만 국내에 건설되는 것 만큼은 확실해 보인다. RHIC만큼 크진 않지만 만들어 낼 수 있는 희귀동위원소의 종류와 양에서 단연코 세계 최고의 성능을 자랑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최근 정부는 KoRIA의 ... ...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02
쉽지 않다. 약 1300년이 지나는 동안 지명이 많이 달라져 기록에 나오는 곳이 어디인지
불명확
하다. 여행하기 위험한 지역도 많다. 대표적인 곳이 인도와 파키스탄의 분쟁지역인 카시미르 일대와 여행 금지국인 아프가니스탄이다. 필자는 1999년 북인도를 탐사하면서 카시미르의 깊숙한 곳을 여행할 ... ...
은방울꽃 향기, 남자가 더 잘 맡는다
과학동아
l
201006
남녀의 후각 민감도 차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된 지 111년 만에 처음으로 남자가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냄새분자를 찾았다.스웨덴 린쾨핑대 생물학과 매티아스 라스카 교 ... 더 민감한지는 아직 잘 모른다”며 “사실 여성이 냄새에 전반적으로 더 민감한 이유도
불명확
하다”고 덧붙였다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1
수치화해서 일치하는 지문을 찾아내는 것이다.보통 현장에서 채취한 지문은 희미하고
불명확
한 부분이 많으므로 이를 선명하게 만드는 영상처리과정이 선행된다. 간혹 어린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하면서 지문의 크기가 달라지지 않느냐는 질문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에 대한 답도 유추할 수 있다.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01
발명에 참여했습니다. 문종은 비가 온 양을 젖은 땅의 길이로 쟀던 기존의 방법이 매우
불명확
하다고 느꼈어요. 토양의 성질에 따라 비가 많이 스며들기도 적게 스며들기도 했거든요. 문종은 구리 그릇을 만들어 그 그릇에 고인 물의 높이로 비가 온 양을 재자고 제안했습니다.측우기에 사용했던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09
퍼진 상태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최근 환자로 확진되는 사람의 절반 이상이 감염경로가
불명확
한 ‘지역감염’으로분류된다. 결국 대규모로 발생할지도 모를 환자들을 적절히 치료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천 교수는 강조했다.그렇다면 신종 플루는 언제쯤 지구상에서 ... ...
군대는 아무나 가나
과학동아
l
200605
- 아군과 적군을 식별하거나 총의 조정간에 초점을 맞출 수 없다.08_ 버거씨병- 원인이
불명확
한 난치병으로 면역력이 약해진다.- 희귀 난치병 가운데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어 다른 사람들의 오해를 사는 질병이다.- 환자의 50%는 말기 신부전증으로 악화돼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병역기피는 부질없는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10
모습도 쌍안경과 그리 다르지 않다. 은하의 모습은 좀더 밝고 커지지만, 여전히 경계는
불명확
하다. 은하가 커서 망원경의 시야를 벗어나기 때문에 흡사 시야에 연한 커텐이 쳐진 듯한 느낌이 은하의 표면을 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줄 뿐이다. 안드로메다은하를 망원경으로 볼 때 관심을 ... ...
별밭에 숨어 있는 보물 석호성운
과학동아
l
200309
석호성운이고 작은 것이 삼열성운이다. 쌍안경 상에서는 성운의 겉모습 특징이 다소
불명확
하다. 또 성운인지 아니면 별의 집합체인지도 뚜렷하지 않다. 하지만 은하수 지역이므로 배경에 대단히 많은 별들이 깔려 있어서 두 성운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소형망원경에서는 석호성운의 특징인 암흑 ... ...
여름 은하수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07
M7보다 규모가 작고 밝기도 4등급 정도로 어둡다.오래 전 성운, 성단, 은하의 구분이
불명확
하던 시기에 산개성단은 포함돼 있는 별들의 밀집도에 따라 분류됐다. 이런 분류는 18세기 천문학자들 사이에 유행했다. 대표적으로 독일계 영국 천문학자 허셸이 밤하늘에 보이는 천체를 밀집도에 따라 1-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