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붕괴"(으)로 총 70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01
- 관측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진다. 지금까지 여러 연구팀이 중성미자가 없는 이중베타붕괴를 찾고자 했지만 모두 관측하지 못했다. 앞으로 더 큰 규모로 탐색을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인공’ 마요라나 페르미온 만든다입자물리학자들이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찾는 방법을 요약하면, 입자가 나타날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01
-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우주가 실제로 이렇게 진화했다면, 일정 기간 인플라톤이 모두 붕괴해 빛을 만들어냈어야 한다(재연소 기간). 그러나 현대 입자이론으로는 아직 재연소 메커니즘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이런 문제를 풀기 위해 여러 대안 이론이 나왔다. ‘빅 바운스’는 현재로부터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인간이 지진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종종 나타나곤 하지요. 주로 폭발물이나 큰 건물의 붕괴가 원인이 돼요. 실제로 2016년 9월 9일엔 북한이 5차 핵실험을 하면서 그 근처에 규모 5.3의 지진이 관측되기도 했답니다.규모 5.8은 어느 정도의 세기일까요? 지진의 규모를 측정하는 단위인 ‘리히터 규모’는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12
- 그 수만큼 시체를 수습했을 때 탐색을 중단할 수 있다. 하지만 지하철 화재나 건물 붕괴 사고처럼 정확한 피해자의 규모를 가늠하기 힘든 상황도 있다.전자와 후자를 각각 닫힌 집단, 열린 집단 케이스라한다. 열린 집단 케이스에서는 현장 탐색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나서야 피해자의 규모를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12
- 일어나 분연주가 붕괴되고, 이것으로부터 화쇄류가 흐른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화쇄류가 붕괴하면서 원뿔의 사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상황을 시뮬레이션했다. 화산폭발지수를 3에서 7까지 다양하게 가정하고 화산폭발지수에 따라 화쇄류의 부피를 정했다(예를 들어 화산폭발지수가 6일 때는 109m3). 또 ...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1
- 상태로 붕괴되는 것을 ‘방사성동위원소’라고 하지요. 방사성 동위원소의 절반이 붕괴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하는데, 반감기는 원소별로 일정해요. 결국 화석 속에 남아있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비율을 통해 시간을 계산하면 화석이 만들어진 시기를 알 수 있답니다. 딱딱하게 굳은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11
- 찾는 방식으로 연구했다. 하지만 입자물리학에서는 힉스 입자와 같은 양상으로 최종적인 붕괴 상태를 나타내는 과정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확신을 갖기 위해서는 뭔가가 더 필요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 현상으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것을 뛰어넘을 정도로 사건이 많이 발생했다는,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11
- с магнитными катушками)’의 머릿글자를 따서 만든 합성어입니다.1991년 소련이 붕괴된 이후 러시아가 경제난을 겪으면서 연구비가 줄었다고는 하지만, 규모나 설비는 여전히 어마어마합니다. 전파 천문학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소 시설 중에 관측소가 따로 있고요, 연구소에 서 사용할 실험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11
- 붙여나가는 것까지 자동으로 한다. 사람은 기계를 조종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터널이 붕괴되는 등 위험 상황이 발생해도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지하공간을 튼튼하게 지탱하고 보강하는 것은 지상에 세우는 일반 건축물처럼 기둥을 세우는 방식으로 해결한다. 인공적인 기둥을 쓸 수 있지만 ... ...
- [과학뉴스] 30년 핵융합 난제, 한국 연구진이 풀었다과학동아 l201610
- 제어할 때 생기는 작은 소용돌이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 난류 덕분에 플라즈마가 붕괴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과거 비슷한 연구 결과가 있었지만, 구체적인 원리까지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윤건수 교수는 “목성 표면에 있는 대적반이 주변 난류와 상호작용하면서 안정적인 구조를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