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늘모양의것
박편
scale
d라이브러리
"
비늘
"(으)로 총 18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0
있어요. 깃털에 있는 작은
비늘
들은 특정한 색의 빛만을 반사하는 역할을 해요. 또한
비늘
이 어떻게 놓여 있냐에 따라 반사하는 색이 다양하게 변하기도 하지요. 사람의 눈은 반사된 빛을 이용해 색을 구별하기 때문에, 공작새의 깃털이 우리 눈에 여러 가지 색으로 빛나 보이는 거예요.일리 :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
수학동아
l
201608
인쇄할 수 있는 홀로그램 잉크를 만들고 있다.이외에도 과학자들은 몰포나비 날개의
비늘
이나 카멜레온의 피부를 모방해 다양한 파랑을 만들고 있다. 이렇게 만든 파랑은 색소가 아닌 광학적인 구조가 비결이기 때문에, 주변 온도나 산성도, 보는 각도에 따라 파란색뿐 아니라 초록색이나 ... ...
[과학뉴스] 물고기는 뇌가 작아야 건강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7
일어나며 몸에 들어온 상대방의
비늘
이 빠지기 시작했어요. 4일 후, 다른 물고기의
비늘
이 성공적으로 빠진 물고기의 수는 뇌가 작은 물고기가 16% 정도 더 많았답니다.콧샬 박사는 “이 연구결과는 뇌의 진화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
과학동아
l
201607
때문에 수많은 동물들이 먹잇감으로 노린다. 그래서 아놀도마뱀은 몸을 숨기기 좋도록
비늘
이 초록색이다. 나무 위에 꼭꼭 숨어있는 아놀도마뱀을 찾기란 보통 힘든 일이 아니다.하지만 제 아무리 위장술이 뛰어난 아놀도마뱀이라 하더라도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잠시 모습을 드러내야 한다. ... ...
보온에서 생존 비결까지! 털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4
뭘까요? 그 비결은 양털의 모양에 있어요. 양털을 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면 표면이 물고기
비늘
처럼 층층이 나뉘어져 있어요. 표면이 울퉁불퉁하면 표면적이 넓어지고 마찰력이 커져서 털끼리 서로 잘 엉겨붙어요. 그래서 양털은 실로 만들기도 편하답니다.또한 양털은 마치 파마를 한 것처럼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2
검은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유한 교수 연구팀은 딱정벌레 등껍질에 있는 얇은
비늘
들이 빛을 사방으로 흩뿌려 딱정벌레의 등껍질이 화려하게 빛나는 것을 보고, 이 현상을 반대로 적용했어요. 사방으로 흩뿌려진 빛을 한 곳에 가두는 구조체를 만들어 세상에서 가장 검은 물질을 개발한 ... ...
생명력이 꿈틀꿈틀~! 생물의 구조와 기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9
프로펠러는 단풍나무 씨앗을, 전신 수영복에 달려 있는 ‘리블렛’ 구조는 상어의
비늘
표면을 닮아 있답니다.반대로 생물의 기관을 있는 그대로 만드는 기술도 있어요. 우리 몸의 여러 기관들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 장기’가 대표적인 예지요. 달팽이관을 고스란히 본뜬 ‘인공 와우’는 청각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8
분야에서 자연을 모방한 제품이 만들어지고 있어요. 호주의 유명 수영선수는 상어의
비늘
모양을 모방해 만든 전신수영복을 입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6관왕에 올랐어요. 또 일본의 엔지니어들은 고속열차인 신칸센을 물총새의 부리처럼 뾰족하게 만들었어요. 공기 저항을 줄여서 속도는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수학동아
l
201511
벨로시랩터는 ‘걸어다니는 악어’처럼 보인다. 짙은 회색을 띠며 몸은 매끄러운
비늘
로 덮여 있었다. 그 이유는 이 영화의 전편인 ‘쥬라기 공원’이 개봉했던 1993년 당시, 공룡학자들이 공룡을 이런 모습으로 복원했기 때문이다. 공룡은 정말 악어와 비슷한 파충류였을까?KEY 1 성장률로 체온 계산1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11
목으로 시각적인 경고 메시지를 전달한다. 한편 방울뱀 종류는 꼬리 끝에 발달한 특수한
비늘
마디들을 이용해 ‘지글지글’거리는 경고음을 낸다. 독이 먼저일까 독니가 먼저일까독을 주입할 때 사용하는 독니는 뱀에 따라 입 속에 다르게 위치한다. 살모사와 방울뱀의 긴 독니는 입의 앞쪽에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