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행접시"(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과학동아 l201205
- 논문과 연구성과를 발표하는 세계적 출판그룹 테일러&프랜시스그룹은 지난 2009년 비행접시를 닮은 삼각형 모양의 선박 디자인(왼쪽 그림)을 공개했다. 아직 상용화하지는 않았지만 구조 설계와 몇가지 테스트를 통해 조용한 바다에서 운항할 경우 150노트의 속도를 내는 것이 가능하다.이 초고속 ... ...
- 우주에서 온 로보너트2의 편지과학동아 l201110
- 올해 초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를 타고 우주정거장으로 건너간 휴머노이드 ‘로보너트2’가 드디어 긴 잠에서 깨어났다. 전원을 연결하고 모든 작동이 원활하게 이뤄짐을 확인한 로보너트2는 이제 우주정거장을 지키는 또 하나의 수호신으로서 임무를 다하게 된다. 로보너트2가 자신의 탄생과 ...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014
- “우웩! 더러워!”며칠 전에 사 둔 빵에 곰팡이가 가득 생겼어. 보기만 해도 근질근질~, 곰팡이들이 내 몸으로 들어와 병이 날 것만 같아.한 손으로는 코를 막고 다른 한 손으로는 빵 귀퉁이를 아슬아슬하게 잡아 쓰레기통에 ‘휙~’하고 버리려는 순간, 어디선가 목소리가 들렸어.“미안해, 네가 오 ... ...
- 재미있는 과학 체험이 한가득! 태평양과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008
- 풍경이 참 멋진데~. 바다 속에 사는 산호와 불가사리도 보여. 그런데, 저건 뭐지? 앗! 비행접시다!영화 속 한 장면 같다고? 하지만 우주와 공룡, 열대 나비에 벌거숭이두더지쥐까지 이 모든 것을 보고 느낄 수 있는 곳 이 있어. 바로 미국 시애틀에 위치한 태평양과학센터야. 지금부터 나, 명예기자 ... ...
-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과학동아 l201001
- ‘내가 만든 자동차가 더 빠를 거야.’청소년들이 기대에 찬 눈을 반짝이며 코스를 바라보고 있다. 자동차 경주에 참여한 청소년 2명은 자기가 만든 자동차를 출발점에 놓았다. 출발! 옆 친구가 만든 것보다 빨리 달리는 자신의 자동차를 보며 뿌듯해 하고, 경주에서는 비록 졌지만 도착지까지 잘 달 ... ...
- 날아라, UFO!어린이과학동아 l200908
- 수 없는, 비행 형태의 물체를 지칭하는 단어지요. 접시 형태를 한 UFO가 많기 때문에 ‘비행접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제 목격된 UFO에는 둥근구, 기묘한 로켓, 사방으로 뻗은 빛 때문에 별처럼 보이는 것 등 다양하답니다. UFO를 목격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 따르면 비행기나 로켓과 달리 ... ...
- 터미네이터 로봇의 진화 가능할까과학동아 l200906
- 인류를 말살하려는 기계 군단에 맞서 인간 저항군이 전쟁을 벌이고 있다. 위~잉! 비행접시 같은 무인정찰기(에어로스태츠)가 주인공에게 다가오더니 얼굴을 스캔하고 그의 정체를 파악해 위치 정보를 인공지능 네트워크 ‘스카이넷’으로 보낸다. 부~앙! 미끈한 무인오토바이(모터 터미네이터)가 ... ...
- 제26회 기상사진전 수상작과학동아 l200904
- UFO가 나타났다? 매끈한 비행접시 모양이라 종종 UFO로 오인받는 렌즈구름이 울산 도심에서 포착됐다.기상청이 3월 23일 ‘세계 기상의 날’을 기념해 개최한 제26회 기상사진전에서는 도심에서 3층 렌즈구름을 포착한 김완기씨의 ‘렌즈운’이 최우수작으로 선정됐다.심사위원장을 맡은 최광연 ...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과학동아 l200807
- 생각했지만 은하수는 태양 같은 별 수천억 개로 이뤄진 우리은하의 단면이다.우리은하는 비행접시처럼 넓적한 원반모양인데, 태양계는 지름이 10만 광년인 우리은하 중심에서 3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다고 알려졌다. 그 안에 티끌보다 작은 행성인 지구에서 우리는 밤하늘에 투영된 별들의 거대한 ... ...
- 중국의 주요 지진 발생 지역과학동아 l200806
- 또는 항공요원이나 전파탐지 등의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없는 비행물체 일반적으로는 비행접시(flying saucer) 등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정체불명의 비행체를 말한다1864~1909 독일에서 활동한 리투아니아 태생의 수학자 스위스 연방공과대학 교수로 있을 때 학생이었던 A 아인슈타인은 그의 강의에 실망,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