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
d라이브러리
"
산악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
과학동아
l
201607
네 발로 산을 오르는지 절감했다. 소리만 들으면 마치 히말라야 고산을 등반하는
산악
인인 줄 착각할 정도로, 기자는 거친 숨을 몰아쉬며 네발(?)로 지리산 천왕봉에 올랐다. 홀로 반팔과 반바지를 입었다는 데서 오는 민망함은 덤이었다(지금 기사를 쓰면서 팔에서 ‘허물’을 벗겨내고 있다).그렇게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7
이타행동에 대해서 이야기해 볼게요.위험 무릅쓰고 무리 지키는 땅다람쥐미국 서부의
산악
지대에는 벨딩땅다람쥐가 살고 있어요. 다람쥐과 중에 주로 땅에서 사는 동물들을 땅다람쥐라고 해요. 프레리도그와 마멋이 대표적인 땅다람쥐예요. 벨딩땅다람쥐는 개미처럼 땅에 길고 복잡한 굴을 파서 그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
수학동아
l
201512
마음이 설레서인지 저는 고된 여행이 달게만 느껴졌어요. 그렇게 청룡열차 같은
산악
트럭을 타고 도착한 짜잇티요의 골든락.정말로 놀라웠어요. 분명 바위의 중심이 앞으로 쏠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어떻게 떨어지지 않고 저렇게 우뚝 서 있을 수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지요. 바위 주변을 한 ... ...
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1510
곁으로 다시 불러내보자(3파트).출생과 함께 찾아온 가난파브르는 1823년 프랑스 남부의
산악
지대에 있는 작은 마을 ‘생 레옹 뒤 레브주’에서 태어났다. 농부의 맏아들로 태어난 파브르는 어린 시절부터 한평생 가난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자연과 곤충에 호기심이 많았는데, 부모는 그 점을 ... ...
PART2. 일본까지 화산재 날려보낸 젊은 화산
과학동아
l
201405
활동했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지고 있다.울릉도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관광지이긴 하지만
산악
지형이 험해 생각보다 연구가 많지 않다. 과거 울릉도 연구는 일본의 화산학자들이 많이 해왔다. 울릉도 분화 시 일본으로 날아간 화산재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있었으며, 1980년대 이후에는 일본 학자들이 ... ...
절벽에 매달려 꿀을 따다
과학동아
l
201405
연기를 피해 도망간 꿀벌들이 절벽 너머 파란 하늘을 점점이 채우고 있다. 인도와 네팔의
산악
지역에는 이렇게 원시방법 그대로 절벽에서 꿀을 수확하는 부족들이 살고 있다.❷ 막대 끝에 걸린 달콤함올해로 62살인 꿀벌 사냥꾼 마리는 40년째 이 일을 하고 있다. 능숙하고 재빠른 손놀림으로 대나무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3
영향을 받지 않아요. 또 설상 경기가 열리는 ‘크라스나야 폴리야나’는 고도가 높은
산악
지역이어서 눈이 쌓여 있지요. 게다가 혹시라도 눈이 부족하면 쓰려고 1년 전 눈을 50만 톤 이상이나 저장해 뒀다고 해요. 러시아는 이번 소치 동계올림픽을 준비하는데 무려 53조 원 이상을 썼다고 하네요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01
수 있기 때문에 더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더구나 이번에 갈등이 불거진 밀양과 같은
산악
지역에서 765kV 고압송전선로를 지중화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산을 뚫는 터널을 지어야 하는데 비용이 엄청나다. 기술적으로도 불가능하다. 지중화 상태에서는 누전과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 ...
하늘에서 가장 쎈 전투기는?
과학동아
l
201312
피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황이 되면 경전투기가 확실히 더 유리할 것이다. 특히 땅이 좁고
산악
이 많아 비행기의 은밀기동에 유리한 우리나라에선 근접전 성능이 더 중요하다.항공역학이나 전투기의 특성을 잘 모르는 사람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꼭 그런 것은 ... ...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
과학동아
l
201304
1970년대 초반 도심의 팽창을 막기 위한 그린벨트 덕분에 서울 주변의 해발고도 100m 이상
산악
지역은 무분별한 개발이 억제됐다. 이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냉기류가 서울 도심 주변 산지에서 형성돼 서울에 공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에 따라 수십 년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