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눈썹
속눈썹
d라이브러리
"
섬모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➍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04
벽을 자유롭게 타고 올라갈 수 있어요. 신기하죠. 도마뱀 발바닥에 무수히 많은 나노
섬모
가 있습니다. 학교에서 배우는 반데르발스힘(
섬모
표면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약한 전기적 인력)이 있어요. 나노 돌기 하나하나 사이의 인력은 아주 작지만 힘이 더해지면 자기 몸무게의 몇 배를 들 수 있죠. ... ...
피부랑 꼭 닮은 센서가 나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고분자 액체를 흘려 넣는 방법으로 깨알보다도 훨씬 작은 나노크기(10억분의 1미터)의
섬모
를 빽빽하게 붙였답니다.이 센서는 사람의 피부처럼 누르고 당기고 비트는 감각을 한꺼번에 느낄 수 있어요. 또 물방울이 떨어지는 것이나 맥박, 혈관의 압력 차이처럼 미세한 자극도 느낄 수 있답니다. ... ...
Part 1. 2등 정자가 임신한다
과학동아
l
201209
정자는 나팔관에서 배란된 난자를 만나기 위해 15~20cm를 여행해야 한다. 과거에는 정자가
섬모
운동으로 몇 시간 안에 난자에 도착한다고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는 자궁이 정자를 끌어들이기 때문에 상당히 빨리 난자 근처에 도착한다. 그 동안 정자는 질 내에서 분비되는 산성물질에 죽기도 하고,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07
자못 궁금해진다.[딱정벌레 날개 원리가 들어있는 테이프.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미세한
섬모
가 촘촘히 박혀 있다. 분자 사이에 반데르발스힘이 작용해 옆으로 잡아당길 때 잘 안떨어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베껴야 사는 과학! 생체모방의 세계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3
방향으로 떼어내면 쉽게 떨어지지만 옆 방향으로 떼려고 하면 안 떨어진다. 미세한
섬모
표면 분자 사이에 순간순간 작용하는 약한 전기적인 인력(반데르발스힘) 때문이다.딱정벌레는 평소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겉날개(앞날개)를 닫고 있다가 비행을 결심하면 겉날개를 열어 그 속에 접혀 있던 ... ...
Part 1. 털, 동물은 입고 인간은 벗다
과학동아
l
201112
털이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건 미생물의 세포 내 기관일 뿐이다. 털은 편모나
섬모
처럼 움직이지도 않고 크기도 훨씬 크다. 곤충 등 절지동물문이나 지렁이 같은 환형동물문에 속하는 동물에게도 털이라고 불리는 것이 있지만, 우리 포유류의 털과는 구조와 특징이 다르다(54쪽 참고).모든 ... ...
바이오 전자코로 향을 음미하다
과학동아
l
200911
집어넣어 발현시키기로 했다. 다만 문제는 유전자가 옮겨진 세포의 막 표면에
섬모
끝에 달렸던 것처럼 후각수용체 단백질이 위치하게 끌고 오는 일이었다. 박 교수의 연구팀은 망막 표면에 있는 광(光) 감각 수용체인 로돕신을 이용했다. 후각수용체에는 신호서열이 존재하지 않아 다른 세포로 옮겨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10
죽는다. 신경영양인자에는 뇌유래 신경영양인자(BDNF), 인슐린양 성장인자(IGF),
섬모
향신경성 인자(CNTF) 등이 있다. 이외에도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성 손상이나 변이 유전자에 의한 단백질 응집 등이 루게릭병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사실 이런 요인이 모두 복합적으로 작용해 루게릭병을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04
엽록체가 광합성을 하는 능력을 상실해 다시 종속영양체로 돌아간 경우도 있다.
섬모
류나 첨복포자충 등 상당수의 원생생물은 세포내 엽록체가 완전히 퇴화한 상태인 것으로 밝혀졌다.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열대열원충(Plasmodium falciparum)은 특이한 경우로 이 녀석의 세포 안에 들어있는 색소체(더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01
그곳에 기생하는 거머리의 알이라는 발견 내용을 발표한다. 그리고 해면류의 애벌레가
섬모
를 이용해 헤엄치는 모습을 관찰한 내용도 이야기한다. 다윈이 해양생물을 관찰할 수 있었던 데는 이 모임을 이끌던 의학교수 로버트 그랜트의 역할이 컸다. 그랜트 교수는 모든 동물이 기본적으로 비슷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