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손톱"(으)로 총 2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세상의 모든 책이 우표 한 장에?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크기의 정보를 담기 위해 손바닥만 한 ‘플로피 디스크’를 이용했어요. 지금은 손톱 크기의 칩에 플로피 디스크 용량의 수만 배나 되는 정보를 담을 수 있을 정도로 기술이 크게 발전했지요.그런데 최근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 샌더 오뜨 박사팀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저장 장치보다 용량이 ...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지난 기사에서 코끼리 상아와 코뿔소의 뿔이라고 나온 걸 봤어요. 상아와 뿔은 비슷해 보이는데 다른 건가요?최수호 (대구 함지초 2)상아와 ... 각질의 주성분인 케라틴으로 덮여 있지요. 하지만 코뿔소의 뿔은 예외예요. 마치 우리의 손톱처럼 뼈가 없으며 케라틴으로만 이루어져 있답니다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11
- 회사의 기술로 아이림에는 사람 피부와 비슷한 재질의 인조 피부가 덮이게 됐다. 주름과 손톱도 있고, 촉감도 비슷하다. 같은 해 태어난 애플 사의 아이폰이 스마트폰 혁신을 주도할 때, 아이림은 전자의수 혁명을 이끌고 있었다 ...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11
- 없을 것이다. 해결의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던 사건이 머리카락이나 혈흔, 침, 심지어 손톱 밑에 낀 작은 피부 조직에서 찾은 DNA 정보 하나로 반전을 맞는 사건이 신문에 대대적으로 보도된다. 과학수사 드라마의 단골 소재이기도 하다. 이젠 변사자가 발견됐다는 뉴스를 보게 되면 열에 아홉은 ‘DNA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0.5~1cm씩 차이나도록 하고, 다른 한쪽 끝을 책상에 고정하면 연주가 가능한 실로폰 완성! 손톱 끝이나 나무젓가락 등 다양한 재료로 두드리며 연주해 보자~!보너스 방법. 고무줄로 연주를? 고무줄 가야금현악기는 ‘현’이라 부르는 줄을 퉁기거나 다른 현으로 그어서 소리를 내요. 짧고 가는 현일수록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10
- 많은 윤환의 몸을 물끄러미 쳐다보다가 손을 뻗었다. 윤환은 눈을 조금 치켜뜨고 손톱에 흙이 끼어 있는 니샤의 손가락을 보았다. 그녀는 가끔씩 호미를 들고 건물 옆에 있는 텃밭을 직접 손질했는데, 화나는 일이 있을 때면 더 오랜 시간 동안 호미를 격하게 휘두르다가 제 손을 상하곤 했다. 지금 ...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09
- 경우죠. 혹은 용의자에게서 여러 종류의 군집 증거를 찾아내는 방법인데요. 용의자의 손톱 아래에서 피해자의 상의, 하의 등의 여러 특징적인 섬유가 발견되는 경우입니다.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두 방법 모두 서윤형 살인사건에는 적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윤지훈이 서윤형의 시신에서 발견한 건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07
- 반면 크기는 엄청나게 작아서, 3C 273의 지름은 우리은하 지름의 60만 분의 1이다. 새끼 손톱만한 LED 하나가 야구장 전체를 밝히는 셈이랄까.AGN의 ‘엔진’을 찾으려는 노력이 바로 시작됐다. 1970년대 말, 천문학자들은 뜻밖의 결론을 마주했다.답은 블랙홀. 그것도 괴력에 걸맞게 아주 거대한 ...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과학동아 l201605
- 산 웅황이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유화비소(As2S3)화합물로 굳기가 손톱(모스 경도 2.5)보다 약한(1.5~2.0)광물이다. 저온 열수 광맥이나 유황이 풍부한 온천 지역에서 만들어진다. 같은 유화비소인 계관석(Realgar, As4S4)이 빛에 변질돼 노란 가루 형태로 변하면서 2차적으로 생성되기도 한다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03
- 깃털을 뽐내며 하늘을 나는 새와 무척 달라 보이지요. 공룡처럼 이빨이 달린 턱, 손톱이 난 세 손가락은 물론 새처럼 깃털도 있는 동물의 화석이 1861년에 발견됐을 때 사람들은 이 동물을 ‘시조새’라고 불렀습니다. 당시에는 최초의 새라고 생각했으니까요.그 뒤 영국의 생물학자 토마스 헉슬리를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