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분규
혼란 국면
뒤엉킴
꼬임
d라이브러리
"
얽힘
"(으)로 총 27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냐 아니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408
양자가 갖는 독특한 성질인 ‘중첩(두 가지 이상의 상태를 동시에 지니는 성질)’과 ‘
얽힘
(둘 이상의 양자의 상태가 서로 연관된 성질)’을 이용해 매우 빠르게 계산을 할 수 있는 미래의 컴퓨터다. 아직은 기초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수준으로, 한국도 일부 연구하고 있다(58쪽 참조).그런데 2011년, 디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08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단계다. 여러 개의 이온을 포획할 수도 있고, 이들 사이에
얽힘
(두 양자의 정보가 서로 관련이 있는 상태로 거리와 상관이 없다) 상태를 걸어주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이온트랩은 양자를 아주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되도록 교란에 잘 견디며 오래 ... ...
08 양자의
얽힘
(EPR 역설)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08
이용해 양자역학과 완전히 동일한 결과를 주는 고전역학적 이론을 제시한다. 하지만
얽힘
을 제대로 나타내기 위해서 이 숨은 변수는 빛보다 빠른 정보전달을 허용해야 했다. 즉 비국소적 숨은 변수가 필요했던 것이다. 봄의 이론은 학계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한다. 여기엔 봄의 특이한 이력도 한몫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04
어느 구멍을 지나는지 알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한다. 논문 저자들은 양자
얽힘
이라는 신기한 현상을 이용하여 이걸 구현한다.이들의 아이디어는 “전자를 건드려 교란한 것은 아닌데 어디를 지났는지는 알 수 있다”로 요약할 수 있다. 어느 구멍을 지났는지 알았다면 전자가 입자로서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12
놓았다.양자투표가 총제의 당선이라는 현실로 붕괴하면 그 첫 스위치가 작동한다. 양자
얽힘
은 모든 한계를 초월해 즉각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총제의 당선이라는 현실이 이루어지면 모든 스위치들이 중계기 역할을 해서 그 소식을 내 몸 안에 있는 마지막 스위치로 전달한다. 이 마지막 스위치가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04
사이언스 연구자들은 양자역학의 ‘비국소성’으로 이를 해석하려 시도한다. 양자
얽힘
현상때문에 쌍생성된 광자 한 쪽의 성질(스핀)을 알아낼 경우 다른 쪽 광자가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다 해도 그 순간 성질이 결정된다. 사람이 자신의 의도로 물질세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 그 영향이 이와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11
모여 양자 상태의 전송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최초로 증명했다. 이들은 ‘양자
얽힘
현상 ’ 이라는 성질을 이용해 양자 상태를 순간적으로 아주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다.양자 전송을 자세히 알아보자. 먼저 서로 얽혀 있는 양자의 한쪽 상태를 사용해서, 보내고자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10
같은 허무맹랑한 현상이 아니다. 2008년에는 스위스 제네바대 니콜라스 지생 교수가 양자
얽힘
이 빛보다 최소 1만 배 이상 빠르다는 연구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했다. 양자역학의 응용 역사양자역학은 “오늘도 발전 중”양자역학은 1913년 보어의 원자모형에서 1928년 폴 디랙의 상대론적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10
‘결잃음 현상’이 있다. 결잃음 현상은 어떤 물리계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얽힘
상태를 만드는데, 주변을 무시하고 보고자 하는 물리계만 관측할 때 고전역학을 따르는 것처럼 보인다고 설명한다. 다세계해석 같은 설명도 있다.영국의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는 ‘황제의 새 마음’이라는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10
더 정확히 측정되는 현상이 발견된 것이었다. 이는 사실 그때까지 알려진 양자
얽힘
(두 입자의 상태가 서로 얽혀있어 멀리 떨어져서도 영향을 주는 현상)과는 모순이었다. 우리에겐 이 문제가 미스터리였다. 강연이 끝난 뒤 한두 시간 브레인스토밍을 했다. 결론이 나지 않아 비행기를 타고, 기차를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