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밀도"(으)로 총 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01
- 바깥으로 나간다. 또, 급팽창 과정에서 우주의 부피가 급격히 커지며 위상학적 결함들의 에너지밀도가 매우 작아진다. 즉, 존재의 영향이 미미해진다. 이로써 빅뱅우주론의 3대 문제가 해결됐다. 인플레이션 이론은 현대표준우주모형을 완성할 수 있는 거의 유일무이한 방법이다. 그러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22
- 과학실로 돌아온 시원이와 친구들은 조심스레 쪽지를 펴 보았어요.“이건 거울을 비추면 제대로 볼 수 있는 거울문자야!”파부르가 서둘러 거울을 가져왔어요. 거울로 문자를 비추자 드디어 글자를 읽을 수 있었지요.“엥? 그런데 이게 도대체 뭐지?”스토리 따라잡기 암호를 해독하라!“영어네, ... ...
- [출동! 섭섭박사] 자동차와 비행기의 심장, '엔진'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엔진은 여러 종류의 연료를 이용해 기계를 움직이게 만드는 장치예요. 자동차의 경우, 엔진에서 휘발유나 경유 같은 연료를 태워 자동차를 움직이죠. 이를 위해 자동차 엔진은 크게 피스톤, 크랭크, 실린더, 흡배기 밸브, 타이밍 벨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가장 중요한 피스톤과 크랭크가 어떻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12
- ‘우주가 등방하다’는 것은 지구 위에서 관측할 때 우주의 방향성을 구별할 수 없다는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대의 우주론이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다.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시간과 공간 격자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11
- 지하도시를 이해하려면, 먼저 3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당시 기독교인들이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수준의 지하공간을 가장 먼저 개척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터키 카파도키아 지역에서 고대인들이 이미 파놓은 동굴을 넓히면서 그들만의 거대한 ‘땅 속 천국’을 만들었다.데린쿠유 지하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10
- [미국 푸에르토리코대 생명체 거주 가능 행성 연구팀은 지금까지 총 44개의 외계행성이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꼽았다. 그 중 지난 8월 발견된 프록시마b를 비롯한 10개 행성(파란색 점선)이 가능성이 가장 높다. 세로축은 표면 온도, 가로축은 겉모습이 지구와 닮은 정도를 수치화했다. 각 행 ...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10
- 우주배경복사가 보여준 결과는 놀라웠다. 하늘의 모든 방향에서 날아온 우주배경복사는 모두 똑같은 온도였다! 각자 다른 방향에서 왔는데 어떻게 서로 짠 것처럼 온도가 같을 수 있었을까?제주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 두 대를 띄웠다고 해보자. 두 배는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같은 속도로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08
- [다양한 은하. 품고 있는 별의 온도에 따라 색이 다르다. 가운데 초록색 은하 사진은 영국 더럼대 연구진이 초록색 은하가 드문 이유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나온 시뮬레이션 이미지다.]은하의 ‘색’에 주목한 적 있는가. 우주에는 우리은하 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은하가 존재한다. 그런데 흥미롭게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07
- ‘어딜 가도 그림 같다.’ 스위스에 다녀온 분들이 입을 모아 하는 말입니다. 알프스 산맥을 끼고 있는 스위스는 자연과 풍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죠. 연구소도 예외는 아닌가 봅니다. 가속기 연구 분야의 세계 최고 기관으로 꼽히는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Paul Scherrer Institute, PSI)는 한가운데에 에메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07
- 처음 발견됐을 때 활동성 은하핵(AGN)은 그저 예외적인 천체였다. 그러나 거대질량 블랙홀이 AGN의 ‘엔진’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이 블랙홀의 질량을 재는 방법이 개발되면서 많은 천문학자들이 AGN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특히 은하 진화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AGN을 새로운 눈으로 살피기 시작했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