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인
고인
옛날
옛적
고대인
d라이브러리
"
옛사람
"(으)로 총 50건 검색되었습니다.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11
경도와 위도는 지구상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기초적인 정보다. 중국, 한국, 일본 등이 공유하는 동아시아 전통천문학에서는 17세기 이전까지 땅이 둥글다고 생각하지 못했는데 경위도의 개념을 어떻게 정립할 수가 있었을까.지구상에서 위도는 그곳의 지평선에서 북극이 올라와 있는 각도(북극고도)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09
새롭게 나타난 초신성!’ 초신성의 정체를 제대로 안다면 잘못된 표현이다.
옛사람
도 맨눈에 보이지 않던 별이 갑자기 눈부시게 타오르던 모습을 보고 새로운 별(초신성)이 출현했다고 착각했다. 하지만 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최후를 맞이해 갑자기 폭발하면서 밝아지는 단계를 뜻한다. 태양보다 ... ...
신구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701
이뤄진 토양)인데다 태풍의 길목이어서 늘 가뭄과 비바람에 시달려야 했다.
옛사람
들은 자연재해와 질병을 신의 노여움 때문이라 여겼다. 그래서인지 제주도는 ‘신들의 고향’이라 불릴 만큼 신화가 많이 전해져오고 있다.그럼 신구간 풍속의 근간이 되는 믿음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일까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05
안내를 시작했다.3백50만년 전 인류의 발자국 화석 몇걸음 걸어가자 발자국 화석과 함께
옛사람
이 보인다. 가까이 가서 보니 외모가 유인원에 가깝고 키도 작다.“Lucy in the sky with diamonds…♬”갑자기 정 실장이 비틀즈의 노래를 흥얼거린다. ‘이 아저씨가 왜 이러시나….’다들 어리둥절하다. “이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02
그림자에서 순탄치 않았던 인생역정과 위엄 뒤에 숨은 인자함까지 엿볼 수 있습니다.
옛사람
들은 선비란 모름지기 권력에 대해선 몸을 사리지 않는 비판을 하면서도 민초들에게는 늘 따스한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고 가르쳐왔습니다. 윤두서의 자화상은 바로 선비의 이미지 그 자체라고 할 수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09
가뭄이 닥치면 한해 농사를 망치게 돼 백성들이 굶어죽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옛사람
들은 하늘에 비를 내려달라고 기우제를 지내는 일밖에 할 수 없었다.과학의 첨단을 달리는 오늘날에도 가뭄은 여전히 인류가 극복하지 못하는 숙제다. 올여름 유럽 전역은 40℃가 넘는 폭염과 가뭄이 휩쓸어 ... ...
유니콘처럼 신비스런 빛 메아리
과학동아
l
200305
있다. 주변의 밝은 별들에 파묻혀 모습조차 확인하기 힘들 정도로 초라하지만,
옛사람
들이 유니콘을 떠올렸을 정도로 신비스런 별자리다. 지난 3월말 미항공우주국(NASA)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외뿔소자리의 별 하나에서 퍼져 나오는 ‘빛 메아리’를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이 사진은 영국 ... ...
봄 길목에 떠있는 여물통 프레세페
과학동아
l
200303
성단임을 알아내기란 무리다. 단지 매우 흐릿한 구름 같은 모습으로 보일 뿐이다. 여기서
옛사람
들이 성운으로 착각했던 이유를 느낄 수 있다.프레세페가 아마추어들에게 사랑받는 이유는 화려할 뿐만 아니라 찾기 쉽고, 뚜렷한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개 어두운 성운과 성단은 관측할 때에 ... ...
땅속에 향나무 묻은 뜻 침향
과학동아
l
200212
‘인사문 향도’에 보면 ‘참나무(橡)가 물에 들어가 천년을 지나면 향이 된다고 했다.
옛사람
은 약으로 쓰기 위해 나무를 베어서 물에 넣고 비석을 세워 증거를 남겼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러니 꼭 향나무만이 아니라 참나무 등도 매향에 쓰였음을 알 수 있다.매향을 하는 이유는 역시 성호사설의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03
모양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지구의 모양을 알기 위해 배를 타고 지구를 한바퀴 돌던
옛사람
들처럼 우주의 모양을 알기 위해 방대한 우주를 직접 가볼 수도 없는 노릇이다. 숲속에서 전체 숲을 알기 힘드니 장님이 코끼리를 더듬듯 더듬거릴 수밖에 없다. 다행히 우리에겐 우주에서 날아오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