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단
성찬대
단장
성판대
제형 편성
제진
사당
d라이브러리
"
제단
"(으)로 총 39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술과 함께 수학의 세계로!
수학동아
l
200910
열심히 기도했다. 아폴로는 사람들의 정성에 감동받아 "신전 앞에 놓여 있는 정육면체의
제단
은 그 모양이 좋으나 크기가 조화롭지 못하니 모양은 그대로 두고 부피가 정확하게 두 배인 정육면체로 바꿔라. 그러면 재앙은 사라지고 좋은일이 있으리라."라고 계시를 내렸다. 그러나 수학자들도 그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09
보자.때는 세종이 즉위한 지 4년째 되던 1422년 1월 23일. 세종대왕과 신하들이 소복을 입고
제단
에 올라 의식을 준비하고 있다. 다들 긴장한 표정으로 하늘을 바라보며 뭔가를 기다리는 중이다.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세종대왕의 표정이 점점 일그러진다. 동시에 신하들의 얼굴에는 땀이 흐르고….그 ... ...
천년이 지나도 변치않는 마야블루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4
오랜 건기로 가뭄이 극심해지면 인간을 제물로 바쳐 비의 신 ‘챠크’(Chaak)를 불렀다.
제단
과 제물에 칠해진 파란색은 챠크를 상징하는 색. 인간들의 정성에 감복한 챠크는 어김없이 비를 내렸다. 즉 우기가 시작된 것이다.1904년 고고학자들은 유카탄반도에 위치한 마야문명의 대유적지인 치첸이차 ... ...
2006 엘니뇨 리포트
과학동아
l
200612
사막에는 연일 폭우가 쏟아졌다. 제국의 왕들은 비의 신을 달래기 위해 노예의 피를
제단
에 흩뿌렸다. 올겨울 다시 엘니뇨가 온다. 지구 반대편에서 생긴 엘니뇨는 과연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6 엘니뇨 리포트PART1 크리스마스 악몽에서 깨어나라PART2 엘니뇨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09
태어나자마자 세례를 받은 그리스도 교인이었다. 그러나 그의 삶은 우주의
제단
에 자신의 천재성을 헌정한 르네상스적 ‘보편인’(uomo universale)이었다.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신학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기계론에 더 이끌렸던 레오나르도는 삼라만상과 자연을 정교한 톱니바퀴가 맞물려서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08
어떤 학자는 그 숫자를 1만4천1백명이라고 추산하기도 했다. 게다가 소규모 피라미드
제단
이 지역마다 산재해 있었으니, 연간 희생된 인간 제물의 숫자는 엄청났을 것이다. 그 당시 스페인 정복자의 일원인 디아즈는 수십만 점의 두개골을 도시의 광장에서 헤아리기도 했다.그러나 인간 제물의 이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02
온백성이 죽어가자 아이기나의 왕 아이아코스는 제우스에게 간절히 기도했다. 제우스는
제단
앞의 참나무 가지 위를 기어가던 개미떼를 변신시켜 새로운 백성으로 허락했다. 아이아코스가 개미(뮈르메크스)에서 나온 이들을 뮈르미돈이라 불렀던 것이다. 아킬레우스가 이끈 뮈르미돈족은 전쟁에서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02
이 책은 모든 발칙한(?) 의문과 상상으로부터 시작된 과학사를 다루고 있다. 첨성대는
제단
이었는지, 풍수지리도 과학인지, 세종시대에 번성했던 과학이 그 후에는 왜 쇠퇴했는지, 19세기 우리나라와 일본의 과학에는 어떤 수준의 차이가 있었는지. 다른 사람들은 피하고 넘어가려는 질문을 애써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
과학동아
l
200101
절이 있다. 심지어 한 뱀연구소에는 높이 5m의 뱀 여신상이 세워져 있다. 여신상 앞에는
제단
이 있어 관람객들은 소원을 빌면서 동전을 던지고 종을 울린다. 모아진 돈은 1년에 한번씩 은행에서 수거해 그 마을의 축제 예산으로 쓰여진다고 한다.우리나라의 민가에서는 옛날부터 뒤꼍 장독대 옆에 ... ...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
과학동아
l
200101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예술의 순교자로 보았다. 그들의 순교가 예술의 영광스런
제단
에 바쳐졌다고 믿었다. 벨라스케스는 붓에 대한 자존심이 무척 강했다고 한다. 그림 제목은‘시녀들’이지만 이 그림의 진짜 주인공은 벨라스케스 자신이 아닐까? 또는 묵묵히 세상을 관망하며 등돌린 빈 캔버스가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