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자"(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10
- 해석 42%, 정보이론 해석 24%, 다세계 해석 18%였다. 여전히 코펜하겐 해석이 가장 많지만, 지지자가 절반도 안 된다는 것이 이채롭다. 솔직히 이런 투표는 재미는 있지만 별 의미는 없다. 아무도 다세계 해석을 지지하지 않는 우주도 존재할 것이기 때문은 아니다. 과학에서 진리는 투표로 정하는 것이 ... ...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06
- 어떻게 구분하느냐에 따라 선거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지지자를 선호하는 유권자가 알맞게 분포된 선거구(A)가 있다고 하자. 하지만 왼쪽과 같이 기존 선거구 대신에 각 후보가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선거구(B, C)를 정한다면 그 결과는 처음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과학동아 l201405
- 만약 이 때 어떤 사정이 있어서 재투표를 하게 됐는데, 이미 A가 대세라고 생각한 C의 지지자 중 2명이 지지 순위를 C, A, B에서 A, C, B로 바꿨다면(표의 음영 부분) 최종 당선자는 D가 된다. 즉 원래 당선자인 A에 유리하도록 투표 결과를 바꿨는데도 당선자가 A에서 D로 바뀌게 된다!선거법의 합리성을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12
- 세계에 대한 인식은 바꿀 수 있다. 우리의 인식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유나의 지지자들은 그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양자사기꾼들을 뿌려 세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고 현실 왜곡과 같은 효과를 거두려는 것이다. 정화가 틀렸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없다면 정화는 진실이 된다. ... ...
- Intro. 우주론의 역사과학동아 l201312
- 호일이 ‘빅뱅’이라는 용어를 만들다. 그러나 호일은 우주가 불변하다는 정상우주론 지지자였으며, 빅뱅이라는 용어는 대폭발 이론을 비꼬기 위해 만든 것.1965년아노 펜지아스와 로버트 윌슨이 2.7K의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하다. 이는 빅뱅 이론의 증거가 되다.1960~70년베라 루빈 등이 은하 회전팔의 ... ...
- 당신의 대통령은 누구입니까과학동아 l201302
- 때문이었다. 여론조사 회사들이 사용하는 KT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사람들은 여당 지지자가 많다. 아무래도 한 지역에 오래 살고 있거나 자기 집을 갖고 있는 고연령층의 보수성향자들이 많은 것이다. 이들에서 표본을 추출하면 여당 지지율이 실제보다 더 높게 나오게 된다.KT 전화번호부가 모집단 ...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과학동아 l201212
- 봤다. 맥케인 후보가 자기 자신을 조롱하는 개그 영상을 본 공화당 지지자와 민주당 지지자는 둘 다 호감도가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콜베어의 적대적인 조롱을 본 사람들 사이에서는 맥케인에 대한 호감도가 크게 떨어졌다. 우리는 알게 모르게 이런 풍자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는 소리다. 후보 ... ...
- 대학 잘 가려면 남녀공학 가지 마라?과학동아 l201212
- 4년제 대학 입학률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올해 1월에 다른 단성학교 지지자들의 기고문과 함께 ‘사이언스’에 근거로 실렸다. 단성학교는 남녀공학에 비해 수능 점수와 4년제 대학 입학률이 높았다. 학생 대 교사 비율, 무상급식비율, 공립학교냐 사립학교냐의 차이를 고려해도 ... ...
- 수학자? 과학자?②수학동아 l201004
- 뉴턴과 비슷한 시기에 미적분법을 발견했다. 이를 두고 뉴턴 지지자와 라이프니츠 지지자들은 서로 먼저 발견했다고 거의 100년 가까이 싸웠다. 결국 지금은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각각 따로 미적분법을 발견했다고 인정받고 있다.과학파스칼은 물리학에도 관심을 갖고 훌륭한 업적을 남겼다. 가장 잘 ...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과학동아 l201001
- 그는 이번에도 진화론 쪽의 손을 들어줬다. ‘지상 최대의 쇼’는 진화론에게 최고의 지지자인 셈이다.미지수, 상상의 역사존 더비셔 지음 | 고중숙 옮김 | 승산 | 527쪽 | 2만 원“대수는 ‘이것에 이것을 더하면 이것이 된다’라는 평서문을 ‘이것에 무엇을 더하면 이것이 되는가?’라는 의문문으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