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급
직렬연결
직렬
직열
연결
d라이브러리
"
직계
"(으)로 총 5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의 아성에 도전하는 아시아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01
약 3분의 2). 그래서 호모 에렉투스의 대표가 됐고, 중국 역시 이를 바탕으로 ‘최초의
직계
조상이 중국에서 나타났다’고 주장하기에 이르렀습니다.그런데 문제가 있었습니다. 아프리카에서만 발견되던 초기 인류 조상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어떻게 아시아의 호모 에렉투스로 진화했는지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
과학동아
l
201112
것으로 보이는 유전자가 존재했던것. 캐벌리어-스미스의 가설이 맞다면 원시진핵생물의
직계
인 이들은 세균(미토콘드리아의 조상)을 포획하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이들의 유전자를 갖게 된 걸까.이 발견을 한 연구자들은 이 진핵생물이 원래는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었는데 특수한 환경에서 ... ...
상어에 강한 턱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1110
둥근 무악어류만이 남아있다. 칠성장어와 먹장어는 갑주어인 야모이티우스(Jamoytius)의
직계
혈통이다. 칠성장어는 생물체의 유기물 조각이나 죽은 동물을 주로 먹는다. 많은 학자들은 무악어류가 근육성 인대로 물을 빨아들인 뒤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걸러 먹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여과섭식)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09
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근거는 부족한 상황이다. 만약 조류의
직계
조상이 쥐라기 초, 중기에 나타났다면 최초의 조류는 늦어도 쥐라기 중기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으나 아직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앞으로도 새로운 화석의 발견과 이를 둘러싼 논쟁은 계속될 것이다. ... ...
인류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사이의 조상 발견?
과학동아
l
201105
195만 년 전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가 인류가 속한 ‘호모’ 속의
직계
조상일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미국의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이 4월 18일 보도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위퉈터스랜드대 리 버거 교수 연구팀은 4월 12일 미국 고인류학회와 16일 미국체질인류학회 ... ...
Part 1. 너랑 나랑 얼마나 가까울까?
수학동아
l
201009
형제는 4촌, 같은 증조할아버지를 둔 형제는 6촌으로 형제 촌수의 숫자가 2씩 커질 때마다
직계
가 하나씩 올라가는 규칙이 있어. 그러니까 형제 중에 3촌, 5촌, 7촌과 같은 홀수 숫자의 형제는 있을 수 없지.그렇다면 아빠랑 같은 가로 줄에 있는 사람들은 어떨까? 가장 가까이에 있는 아빠 여동생은 ... ...
인류 진화의 비밀 풀리나
과학동아
l
201005
A. africanus)와 호모 하빌리스(H. habilis) 사이를 잇는 종이거나 호모 에렉투스(H. erectus)의
직계
조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아직까지 논란은 많지만 인류학자들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호모 하빌리스를 거쳐 호모 에렉투스로, 또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호모 하빌리스와 호모 에렉투스로 각각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01
아파렌시스란 학명을 얻었다. 아르디는 루시보다 더 원시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데, 그
직계
조상인지는 아직 불분명하다.Runners-up식물 스트레스 호르몬 수용체 발견가뭄이 심하면 성장을 억제하고 씨가 발아하지 못하게 막는 식물 스트레스 호르몬 ABA를 인식하는 수용체의 실체가 마침내 밝혀졌다.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07
80만 년 전 등장해 160만 년가량 생존했던 호모 에렉투스 역시 뇌 용적이 더 큰 현생인류의
직계
조상이 등장하면서 사라졌다. 결국 뇌 용적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이었던 셈이다. 그런데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원시인류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도 작은 뇌를 가지고 현생인류와 최근까지도 공존해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09
아무튼 저희는 사람들과 살게 되면서 크게 두 갈래 길을 걷게 됐죠. 하나는 저희
직계
조상들처럼 사람을 도와 농사일을 했던 일소였고 또 하나는 사람들과 초원을 이동하며 우유와 유제품을 공급해주던 젖소였죠. 인도에 있는 제부(Zebu) 품종같이 양쪽 다 제공해주는 소도 있어요.한국에 자리 잡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