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관"(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02
- 영화에서 나온 거대 탑승형 로봇에 가장 가까운 모습이다.조종 방법도 다른 로봇에 비해 직관적이다. 조종사가 조종간을 쥐고 팔을 움직이면 로봇도 그에 따라 팔을 움직이는 형태다. 다만 다리는 아직 외부에서 조종해야 한다. 다른 로봇처럼 높이가 4m에 달하지만 가벼우면서 강도가 높은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있다. 알파고는 수백 대의 컴퓨터가 어마어마한 전력을 소비하면서 계산해 인간의 직관을 모방하는 소프트웨어다. 하지만 다치논리회로가 구현되면 적은 양의 전력을 써서 인간의 사고를 모방할 수 있다. 인간의 뇌에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다.하지만 3진법을 비롯한 다치논리회로의 전망은 아직 ... ...
- Part 1. 유럽 최고 드론업체 ‘패럿’에 가다과학동아 l201612
- 실제로 드론 조종 경험이 전무한 기자도 스마트폰을 기울이고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직관적으로 드론을 조종할 수 있었다. 원리는 간단했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GPS,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가 스마트폰이 중력방향 기준으로 얼마나 기울어져 있는지를 정확한 값으로 나타내고, 이것을 와아파이로 ...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수학동아 l201611
- 알아야 할 정의와 공준들을 소개해요. 공준이란 변하지 않는 진리를 말하지요. 직관적으로 당연한 수학적 사실을 정리한 거예요.”단은 이제껏 만나왔던 수학자들을 생각했다. 우연히 유클리드의 을 읽고 수학에 푹 빠진 수학자도 있었다.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 유클리드의 책이 잘못 설명한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11
- 류와 같다면, 파동함수를 조금 변형시켜도 원래의 성질을 그대로 유지한다.위상수학을 직관적으로 설명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머그컵과 도넛이다. 머그컵과 도넛은 겉모습은 완전히 다르지만 구멍이 하나씩만 있다는 특징이 있다. 위상수학에서는 구멍의 개수로만 물체를 구별하기 ...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수학동아 l201611
- 있으면 부드럽다고 하지 않는다. 뾰족한 부분은 미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는 직관적으로도 부드러워 보이지 않는다. 최 교수는 “시라는 문학은 읽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함축된 언어를 색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며, “수학자의 눈으로 시를 바라보면 읽는 재미가 독특하다”고 말했다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10
- 학문이라는 점에서 비슷해 보이는데, 무엇이 다를까?“제가 생각했을 때 물리학은 직관이 더 중요하고, 수학은 논리력이 더 중요해요.”물리학에는 엄밀하게 검증하지 않고 넘어가도 되는 부분이 있다. 실험으로 타당성을 증명하면 되기 때문이다. 반면 수학은 매 단계를 확실하고 엄밀하게 ... ...
- [Tech & Fun] 다른 이의 마음을 어떻게 읽을까과학동아 l201610
-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상대방이 느꼈을 감정에 대해 잘 맞힌다는 주장이다. 또한 직관적으로 생각할 때보다 의식적으로 열심히 생각할 때 상대의 감정을 더 잘 맞힌다고 한다. 조망수용뿐만 아니라 공감도 의식적인 노력과 생각에서 온다는 뜻이다.누군가의 마음을 읽어 감정을 헤아리거나 ... ...
- [Interview] 온라인 쇼핑몰 개인정보 유출 막을 비법은?과학동아 l201609
- 이를 통해 그 문제에 대한 접근법을 알게 된다. 그러면 복잡한 상황도 해결할 수 있는 직관을 얻는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면, 다음엔 더 어려운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 자율주행자동차도 마찬가지다. 점점 복잡한 문제를 만나고 해결하는 과정에서 최적화 이론 자체가 발전할 수 있다. 한 가지 더.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07
- 치사하게도(?) 필자는 왜 그렇게 되는지는 알려주지 않았다. ‘협력의 공식’의 핵심을 직관적인 그림 모델로 이해해 보자.122쪽의 그림을 보며 이야기를 시작해보자. 먼저 사회적 행동이 아닌 형질을 만드는 유전자다(그림1). 예를 들어, 잘 익은 과일처럼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달다고 느끼게 하는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