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일선
맨 앞
선두
최전면
전선
최전방
d라이브러리
"
최전선
"(으)로 총 112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
과학동아
l
201601
어디까지 알고 있나.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
은 어디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바로 ‘표준모형’이다. 세상의 근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인류가 지금껏 깨달은 모든 것을 담은, 가장 포괄적이고 상세한 이론이다. 외계 지적생명체가 존재한다면, 그들에게 건네 줄 단 하나의 이론도 표준모형일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
과학동아
l
201601
아인슈타인이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루는 데 일부분 기여했다.하지만 현대물리학의
최전선
에 있는 표준모형은 아직까지 강력과 약력, 전자기력을 완벽하게 통합해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강력을 통합하는 부분은 실험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게다가 중력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설명하지 못한다.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
과학동아
l
201509
강단에 몰려들어 질문하는 통에 강연자들이 강단을 떠나지 못했다. 생명과학연구의
최전선
에 있는 과학자들과 미래의 생명과학자를 꿈꾸는 고등학생들이 스스로 만든 토론의 장이었다.행사에 참석한 이세인(가재울고 2년) 학생은 “예쁜꼬마선충이 사람과 유사한 신경체계를 갖고 있다는 게 정말 ... ...
[2015 과학동아 사이언스 바캉스] 7월25일 과학자와 함께하는 지적인 휴가!
과학동아
l
201506
동안 다채로운 과학 강연을 선사하는 행사입니다. 현대물리학과 일반상대성이론, 첨단기술의
최전선
을 최고의 전문가와 함께 만날 수 있습니다. 서울대 공대 교수와 함께 하는 전공 탐색과 다양한 과학 문화 행사도 열립니다 ... ...
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
과학동아
l
201501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
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PART1. 에볼라
최전선
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01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
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
과학동아
l
201501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
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과학동아
l
201501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에볼라 쇼크2 : 인간의 반격이 시작됐다PART1. 에볼라
최전선
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 ... ...
[과학동아 카페] “노벨상 원리, 장풍 알면 쉬워요”
과학동아
l
201412
많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과학동아 카페는 과학지식에 목마른 일반인과, 현장의
최전선
에서 활동하는 과학자가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누는 과학 토크콘서트다. 매달 개최되며(참가비 1만 원), 과학동아 정기구독자 및 서포터스는 무료다. 전문은 다음 링크(http://goo.gl/VSAsbS)에서 볼 수 있다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11
기술된다. 양자역학의 기이한 특성을 이용해 살아가는 생명체가 있을까? 양자과학의
최전선
, 양자생물학이다. 우리는 유기체 내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새로운 유형의 물리학 법칙을 기꺼이 찾아야 한다. 혹시 그 법칙을 비물리학적인, 아니 심지어 초물리학적인 법칙이라 불러야 할까?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