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이
연령
연세
세월
연륜
시간
광음
d라이브러리
"
춘추
"(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운주사 천불천탑의 비밀
과학동아
l
199907
용납하기 힘든 생각이다.동양이나 서양이나 천문학에서 중요시하는 점은 동하지,
춘추
분점이다. 특히 동양의 관념에서는 동지가 더 중요시 됐다. 만일 운주사를 세웠던 사람들이 천상의 질서를 지상에 구현하려 했다면 이들은 사찰에 들어섰을 때 동지로부터 펼쳐지는 하늘의 모습을 보고 싶어했을 ... ...
병주고 약주는 옻나무
과학동아
l
199805
오늘도 생생하게 제 색을 발하는 이유도 자연도료인 옻칠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춘추
전국시대의 유물 중 칠기가 출토되고 있음을 미루어 볼 때 이미 4천년 전에 중국에서 옻칠이 천연도료로 사용됐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도 평안남도 대동군 용인면 남정리 낙랑시대의 고분에서 옷상자 ... ...
동물이 경칩날을 아는 비결
과학동아
l
199803
이들을 보면 온도가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진나라 때의 '여씨
춘추
'에는 '겨울이 되었는데도 춥지 않아 움츠렸던 벌레들이 다시 나왔다'는 서술이 있다. 동물들도 이상기온에 속아 겨울잠을 깨는 일이 예로부터 관찰됐던 것이다.정확한 스케줄 관리적당한 시기가 되지 ... ...
2. 음력과 양력 어느것이 더 과학적인가
과학동아
l
199801
19태양년과 235삭망월의 길이가 같아지는 주기인 6940일을 동양에서는 장주기라 하는데
춘추
시대에 발견됐으며, 서양에서는 메톤주기라 하는데 기원전 433년경에 아테네의 천문학자 메톤(Meton)에 의해 발견됐다. 이 주기는 태음태양력이 계절에 일치되는 주기인 동시에 달의 삭망이 태양년에 복귀하는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08
다루고 있다.중국인들은 태고적부터 천연물을 건강관리에 활용해 왔다. 하왕조로부터
춘추
시대(대략 B.C.2100년~B.C.467년)에 걸쳐 편찬된 많은 옛 문헌중에 질병과 그 치료법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 있다.의학서적중 최초의 고전으로 일컬어지는 황제내경은 전국시대(B.C.475년~B.C.221년)에 저술된 것으로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04
된다. 따라서 겨울 햇살이 집안 깊숙이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우리는 (그림3)에서 또한
춘추
분 때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지만 하지 때는 낮의 길이가, 동지때는 밤의 길이가 더욱 길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이 개념도 2월호 (그림4)를 보면 다른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다. 북반구 중에서도 극에 가까운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8
남북을 가리키는 것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너무도 유명하다. 중국 여씨
춘추
(女氏春秋, B.C. 249년~B.C. 237년)에 이미 자석(磁石)에 대한 기록이 나오지만 나침반은 11시기 말에 중국에서 발명된 것 같다. 그후 14세기 즈음에 이것을 유럽사람들이 항해에 이용했다.나침반은 정확하게 진북 ... ...
그래픽과 통신기능에 혁신
과학동아
l
199010
독자적인 모델을 개발, 상품화에 나설 계획을 세우고 있어 본격적인 'X터미널
춘추
적국시대'를 앞두고 있다.국내에도 연내에 생산우리나라에서도 삼성전자 금성사 현대전자 삼보컴퓨터 등 컴퓨터 대기업들외에 휴처시스템 연주시스템 등 중소업체들도 국내 생산을 위해 의욕적인 시설투자와 ... ...
진시황의 지하무덤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908
역시 이 장성이 무엇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장성은
춘추
시대(BC 700년~400년) 제(齊)나라시대 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그후 진시황제가 천하를 통일(전국시대의 마감)하면서 감숙성의 서쪽까지 증축, 그 엄청난 자태를 드러내게 된 것이다. 오늘날의 장성의 모습은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03
사람을 태학박사라 하였고 백제에서는 오경(五經)박사를 두어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
를 가르치게 했다. 신라에서는 국학을 두어 각 학과의 교수를 박사라 칭하였다.이 당시 박사라는 말이 꼭 학문이 높은 사람을 일컫는 것만은 아니었다. 이른바 전문기술자들도 박사였다. '일본서기'를 보면 '탑학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