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취업일"(으)로 총 294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08
- 6월 24일, 유럽연합(EU)에서 영국이 탈퇴하는 이른바 ‘브렉시트(Brexit)’에 대한 찬성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 결과가 발표됐다. 결과는 52%대 48%, 탈퇴파의 승리였다. 당연히 잔류할 것이라는 많은 이들의 예측을 벗어난 결과였다. 투표 결과가 발표된 뒤 주식시장은 출렁였고, 경제학자를 시작으로 많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08
- 기자가 겪어본 최고의 피서는 대학생 시절의 여름 방학이다. 방학을 맞아 선풍기를 켜고 나무늘보처럼 아무것도 안한다면, 그곳이 천국이다. 그런데 최고의 피서를 반납하고 매일 학교로 향하는 학생들이 있다. 좋은 시절을 포기하고, 연구와 실험으로 더위를 이기는 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봤다.황 ... ...
- [Career] “ 공학이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과학동아 l201608
- 산업공학과는 다른 공학과에 비해 정체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장우진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는 고개를 갸우뚱하는 기자에게 “산업공학은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라고 소개했다. 바이올리니스트나 첼리스트는 배울 것이 명확하지만, 지휘자는 정확하게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사람들이 잘 모 ...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과학동아 l201607
- 장기기증과 관련된 이야기는 주로 미담이다. 사고로 뇌사에 빠진 사람이 뇌사기증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새 생명을 주고 떠났다거나, 유명 연예인이 사후 장기기증을 약속했다는 등의 이야기다. 분명 너무나 숭고한 일이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남몰래 눈물을 흘리는 이들도 있다. 바로 건강 ... ...
- [Career] “이산화탄소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날이 올 겁니다”과학동아 l201607
- 인공 광합성 연구는 요즘 ‘핫’한 주제다. 너무 많아서 고민인 이산화탄소로 고부가가치의 화학물질과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으니, 꿩 먹고 알 먹는 연구다. 인공 광합성의 핵심은 ‘식물의 광합성 회로를 인공적인 재료로 얼마나 잘 구현하는가’다.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지난해 수 ... ...
- [수학뉴스] 대한민국이 키우는 문제 해결사, 산업수학!수학동아 l201606
- 수학은 학교를 졸업하면 쓸모가 없다는 편견이 곧 수그러들 전망입니다. 지난 4월 27일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제20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에서 정부가 수학으로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했습니다.수학적 이론과 분석방법을 이용해 산업현장의 문제를 해 ... ...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06
- 로봇을 만들기 훨씬 더 전에 사람들에겐 다른 꿈이 있었다. 인간 신체의 일부를 그러모아 새로운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욕망. 소설 ‘프랑켄슈타인’으로 대표되는 이 같은 희망은, 20세기 초 빠르게 발달하기 시작한 기계·전자 기술에 힘입어 인간과 닮은 기계를 개발하는 땔감이 됐다. 하지만 여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06
- 로봇공학과 IT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구체화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장벽이 높다.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흔히 사이보그라고 부르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은 로봇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많다. 인체와의 결합, 생체신호 인지, 인체 친화적인 재료 등 로봇을 만들 때와는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06
- 한국은 자타공인 로봇과 의료 기술 강국이다. 이 둘을 융합한 인체 플랫폼화 기술을 연구하기 위한 토양은 이미 훌륭하다는 뜻이다. 최근 국내 로봇공학자와 의료진이 ‘생각대로 움직이고 느끼는 인공 팔(바이오닉 암)’ 개발에 시동을 걸었다. 미래창조과학부의 ‘생체모사형 메카트로닉스 융합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06
- 지난 3월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4대 1로 이긴 사건을 두고, 여러 반응이 쏟아졌다. 영화 ‘터미네이터’의 디스토피아를 떠올린 사람도 있고, 인공지능의 현재 수준이 아직 그 정돈 아니라며 놀란 마음을 달래준 전문가도 있었다.그 중 필자가 가장 흥미롭게 느낀 반응은 다음이다. “알파고는 이성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