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제주도
탐라국
d라이브러리
"
탐라
"(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08
2007년 완공을 목표로 지름 21m짜리 전파망원경 3대를 서울(연세대)과 울산(울산대), 제주(
탐라
대)에 설치할 계획이다.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KVN사업 예산이 승인돼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은 한국 천문학 발전과 국가 이미지를 위해서 천만다행한 일이다.KVN과 VERA만 비교하면 어쩌면 한국이 ... ...
전설의 섬 이어도에 우뚝 선 과학기지
과학동아
l
200307
6 m 아래에 잠겨 있어, 파도가 심할때에만 모습을 드러낸다. 이어도는 고려 때부터 중국과
탐라
(제주)사이 바다 어디엔가 있다는 소문만 있을 뿐 아무도 가보지 못한 섬이었다.“이엿사나 이여도사나 이엿사나 이여도사나.” 남편을 영영 바다로 보낸 제주 해녀의 애환을 담은 노동요 ‘이어도’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06
이들 세 곳의 망원경으로 각각 관측한 신호를 종합·분석하면 연세대 망원경과
탐라
대 망원경을 잇는 5백km 정도의 거대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전파망원경의 경우 전파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기 때문에 똑같은 크기의 망원경이라면 가까이 있는 두 천체를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02
위해 김유신 장군이 연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이후 고려 말엽(1374년) 최영 장군이
탐라
국을 평정할 때 군사를 연에 매달아 병선(兵船)에서 띄워 절벽 위에 상륙시켰으며,불덩이를 매단 연을 적의 성안으로 날려보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또 조선조에는 세종대왕(1455년)때 남이 장군이 강화도에서 ... ...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
과학동아
l
199712
수중촬영은 이어도의 생물상과 암초의 형태와 특성에 집중해 이뤄졌다. 한편 작업선
탐라
호에서는 수중촬영로봇을 이용해 과학기지가 건설될 예정지점인 이어도 정상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5백m 떨어진 수심 약 40m 지점과 남쪽 약 55m 지점에 대한 수중촬영을 성공리에 마쳤다. 그리고 중앙에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09
천왕사 등 사찰 주변의 양치식물들을 둘러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관음사에서
탐라
계곡을 따라 들어가는 곳에 섬공작고사리가 있을 터였으나 시간관계상 찾지는 못했다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01
당시 몽고군의 침략에 대항한 삼별초가 제주에 건너와 마지막까지 항전했으나 패하고 '
탐라
국'은 원나라의 속령이 되었다. 원나라는 이곳을 일본정벌을 위한 군사기지로 삼고 충렬왕 2년에 몽고말 1백60마리를 들여와 한라산 기슭에 방목한 것이 제주 명물 조랑말의 뿌리다.이때부터 제주도에는 마장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
과학동아
l
198808
등이 순서대로 매분기마다 계속될 예정, 또 전시시설 이외에도 '신비의 섬
탐라
'라는 영화가 매일 4회 상영되고 있어 제주도의 자연과 생태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돕고 있다.한편 박물관에서는 전시업무뿐아니라 연구활동도 수행하고 있다. 고고민속과 동물, 식물·광물, 해양생물 등 4개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