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효
취소
폐기
무효화
불이행
파내기
d라이브러리
"
파기
"(으)로 총 65건 검색되었습니다.
깨볶는 과학 마지막회 우유+여드름균=맛있는 치즈
과학동아
l
201312
깊고 풍부해진답니다.만화에서 생쥐가 좋아하는 치즈로 자주 등장하는 에멘탈은 ‘구멍
파기
’라는 뜻을 가진 프로피오니 박테리아를 넣어요. 원래 이 균은 동물의 피부에 살고 있어요. 지방 분비선이 막혀 있는 곳에서 울긋불긋 여드름을 만들지요.프로피오니 박테리아는 치즈의 젖산을 먹고 ... ...
초원의 시간
과학동아
l
201311
공습에 대비하지 못한 까닭이었다.“여기서 시간을 지체할 수는 없어. 휴전이 완전히
파기
되면 국경을 차로 가로지르는 게 더 위험할 수도 있어. 달리는 데까지 달려 보고 그 다음은 차를 버리고 걸어가는 수밖에.” 조사단장 하마드 사마니의 말이었다. 라베아 유수프가 대꾸했다. “그래도 차가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
수학동아
l
201304
실수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고는 당황해서 수상을 철회했다. 그리고 논문이 실린 저널을
파기
하는 비용도 전부 지불했다고 한다. 그 뒤 푸앵카레는 연구를 거듭해 첫 번째 논문의 오류를 바로잡은 새 논문을 1890년에 공식적으로 출판하게 된다.1999년, 영국의 수학 사학자인 준 배로-그린은 스톡홀름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
과학동아
l
201301
다리가 없다. 그렇다고 날개의 흔적이 있는 것도 아니다. 땅 속에서 살기에는 땅을
파기
조차 힘들어 보인다. 그러나 뱀은 바다에 사는 바다뱀종류까지 포함하면 극지방과 섬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살고 있다.다양한 환경에 뱀이 적응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전문가들은 뱀의 ‘다리’ ... ...
땅 안파고 보물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6
변 기자에게 고고학 탐사가 무턱대고 땅부터 파는 일이 아니라고 설명해 주었어요.땅을
파기
전에 첨단 과학 기술을 이용해 유적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모은 다음, 신중하게 발굴을 시작해야 한다는 거예요. 그래야 유적을 보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발굴할 수 있다는 사실!지하탐지 레이더로 숨은 ... ...
스펀지 MATH
수학동아
l
201203
수 있어 아주 위험하다. 타이어를 개발하는 연구팀은 주로 수학모델을 이용해 홈을
파기
적합한 위치와 홈의 두께를 결정한다. 안쪽 홈이 가장 넓게 설계 된 것은 그 부분이 배수가 더 잘 돼야 하기 때문이다.➋ 타이어 중간 중간에 작은 홈을 파놓아 타이어 안쪽에 물이 더욱 잘 빠져 나가도록 ... ...
뚝딱뚝딱, 동물도 도구를 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7
쇠똥구리와 같이 똥을 먹고 사는 곤충을 유인하거든. 실제로 똥이 놓인 땅굴에 사는 굴
파기
올빼미는 똥이 없을 때보다 쇠똥구리와 같이 똥을 먹고 사는 곤충을 10배나 더 많이 잡아먹을 수 있단다.돌로 알을 깨는 이집트민목독수리도구를 잘 쓰는 새에 내가 빠지면 섭섭하지. 안녕? 난 ...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6
파먹기인도 국립정신건강 및 신경과학연구소 안드라데 박사와 스리하리 박사는 코
파기
에 대한 연구로 지난 2001년에 *이그노벨상을 받았다. 연구팀이 인도 방갈로르 지역의 청소년 200명을 관찰한 결과, 거의 대부분이 하루에 평균 네 번 이상 코를 파고, 그 중 아홉 명은 코딱지를 먹기도 했다.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동물도 많았어. 개구리의 공중 짝짓기나, 개미들이 투명한 젤 속에서 둥둥 떠서 굴
파기
등 재미있는 실험들도 있었지. 또 어떤 별별실험들이 있었는지 살펴볼까?mission1 호랑거미의 집짓기작년 4월 17일 인데버 호를 타고 온 호랑거미가 약한 중력상태에서 짠 거미집이다. 일반적인 거미집과는 달리 ...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
수학동아
l
201108
땅을 강하게 박차는 과정이 필요해요. 그래서 선수들은 출발을 앞두고 저마다 땅을
파기
바빴어요. 1929년 스타팅 블록이 나오기 전까지는 이 같은 일이 계속됐죠. 스타팅 블록이 개발된 뒤로는 출발과 동시에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어서 기록이 좋아졌어요. 스타팅 블록을 이용한 출발 자세도 다양하게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