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굴복
녹아웃
케이오
넉아웃
후퇴
철수
귀순
d라이브러리
"
항복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헛된 저항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저항을 그만 두고 어서
항복
하라!”인질을 잡고 있는 범인에게 경찰이 자주 외치는 소리지요. 하지만 전자 회로의 세계에서 헛된 저항이 존재하지 않아요. 전기가 잘 통하는 물체를 도체라고 해요. 도체의 한쪽 끝에 다른 쪽 끝으로 전자들이 움직이면 전류가 흐르게 되지요. 그런데 어떤 도체라도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11
세계 최초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컴퓨터 콜로서스를 만들었어. 튜링 덕분에 히틀러는
항복
을 할 수밖에 없었지. 악보가 암호라고?1차 세계대전 당시 마타 하리는 독일과 프랑스의 이중간첩으로 활동했다. 마타 하리는 악보를 이용해 양국에 정보를 제공했다. 각각의 음표에 알파벳을 대응시켜 만든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10
채 저항을 계속하던 영국군 사령관 ‘찰스 콘월리스’는 3판양승의 가위바위보에서 지면
항복
하겠다고 제안했다. 미국 독립군의 워싱턴 장군은 2번 연속해서 가위를 냈는데, 그만 모두 지고 말았다. 그러자 연합군의 사기가 떨어질 것을 염려한 로샹보 장군이 대신 나서 5판3선승 경기로 늘리자고 ... ...
로또에 의혹의 눈길이 떠나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06
다른 한 사람만 남았을 때 요세푸스는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었고 함께 로마군에
항복
한다. 이 모든 것은 요세푸스 본인이 쓴 책에 나오는 이야기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엘리아스 카네티는 ‘군중과 권력’에서 요세푸스의 제비뽑기가 속임수였다고 평가했다. 요세푸스의 행운 41 =4.9%를 어떻게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
원자폭탄을 만들기 위해 애썼다. 결국 1945년, 원자폭탄은 엄청난 위력을 과시하며 일본의
항복
을 이끌어 냈다.오늘날 원자력은 전기를 생산하는 등 평화적으로 쓰이지만, 핵무기의 위협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고 있다. 약 주고 병 주고 - 암모니아 합성법20세기 초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는 비료의 ... ...
세계 최초 OLED TV 등장
과학동아
l
200711
이 인장력을 가하면 재료내에 응력이 생기는데 이를 인장응력이라 한다 응력을 재료의
항복
점 이상으로 증가시켜 가면 결국 재료는 파괴된다 이와 같이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최대 인장응력값을 인장강도라 한다 인장강도는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특정값으로 중요시하여 왔다 한편 재료에 ... ...
동물과 대화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
가!이빨을 드러내고 방어적인 자세로 맹렬하게 짓기도 하지요.
항복
~배를 보이는 것은
항복
했다는 뜻으로 ‘네가 나보다 높아’라는 뜻도 있습니다.누구냐, 너?킁킁 냄새를 맡는 것은 사람이나 물건에 대해 조사하는 것입니다. 내가 누구인지 알 수 있게 냄새 맡도록 해 주세요. 처음 만나는 개라면 ... ...
30초만에 30층 오르게 도와주는 로프
과학동아
l
200704
이 인장력을 가하면 재료내에 응력이 생기는데 이를 인장응력이라 한다 응력을 재료의
항복
점 이상으로 증가시켜 가면 결국 재료는 파괴된다 이와 같이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최대 인장응력값을 인장강도라 한다 인장강도는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특정값으로 중요시하여 왔다 한편 재료에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04
3년 동안 대통력 체계에 맞춰 달력을 만들고 천문관측을했다. 조선은병자호란때청나라에
항복
한 속국이었으므로 청나라의 달력에 따라 이 3년간 대통력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 중 1669년이 송이영이 혼천시계를 만들었다고 하는 해다.그렇다면 국가의 공인으로 제작된 혼천시계에는 360°눈금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01
청나라가 채용한 ‘시헌력’(時憲曆)을 사용해 달력을 만들었다.조선은 청나라에게
항복
한 속국이었지만 내부적으론 엄연히 왕이 다스리는 국가였다. 때문에 조선왕이 백성에게 위정자로서 신뢰를 얻으려면 독자적으로 천문학을 연구하고 달력을 만들어 백성이 이를 사용하도록 해야 했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