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발"(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graphic. 물과 얼음을 싹 걷어낸 극지의 본모습과학동아 l201608
- 동남극대륙과 서남극대륙으로 나뉜다. 동남극지역이 해발고도 2000~2500m로 서남극지역(해발고도 약 1000m)보다 높다.남극 중앙해령‘불의 고리’가 얼음대륙을 완전히 감싸고 있다. 지구 전체 중앙해령(길이 6만km)의 3분의 1 가량을 차지한다. 남극 중앙해령은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을 모두 접하고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08
- 중독자를 치료하는 신약의 성분이다. 콩고민주공화국 비룽가 산맥에 사는 산악고릴라는 해발 4100m까지 올라 도라지과의 ‘로벨리아’라는 식물을 먹는다. 원주민들 사이에서 코감기와 폐질환에 특효약으로 알려져 있다. ... ...
- [Knowledge] 산사태 예측, 그 어려운 걸 꼭 해내겠답니다과학동아 l201607
- 평가하려는 것이다.산사태 나는 순간을 포착한다산사태 관측 시설이 설치된 곳은 해발 1915m 천왕봉을 기준으로 남서쪽의 제석봉과 북동쪽의 중봉, 그리고 산 하부 중산리 계곡 인근이다. 지리산은 육지에 상륙한 태풍이 처음 만나는 고산지대로, 태풍이 지나가면서 많은 양의 비를 뿌린다. 이 때문에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01
- 업체들이 포기하지 못하고 있다”며 “그린피스 탐사대가 PFC를 이용하지 않은 옷을 입고 해발 5000m를 탐사했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국내에는 PFC에 관련된 규제가 없다. 현재로서는 어떤 브랜드가 PFC를 쓰고 있는지 소비자가 알 수 있는 방법도 없다. 세계적 친환경 섬유시스템 인증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11
- 몽롱한 와중에도 ‘정신줄’을 놓을 수 없게 만든 것은 산길에서 만난 폐허들이었다. 해발 8163m, 세계 8번째 고봉인 마나슬루 산이 멀리 보이는 산길에는 카트만두에서와 달리 무너진 집들이 즐비했다. 시골집들은 대부분 단층이었지만 철근과 시멘트를 쓰지 않고 돌덩이를 쌓고 사이에 진흙을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10
- 밀도가 낮아지고, 공기 저항이 줄어 타구의 비거리가 대폭 늘어난 것이다. 이론상으로는 해발 0m에 위치한 구장보다 5% 더 멀리 날아간다. 이외에도 콜로라도의 더운 날씨와 건조한 환경도 투수를 괴롭혔다.온도가 올라가면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져 공기 밀도가 낮아지고, 대기가 건조해지면 공과 ... ...
- [Life & Tech] 하늘공원이 품은 것은?과학동아 l201510
- 눈치를 살피며 묻습니다. “뭐…, 뭔데 또?” 소년이 자신만만하게 말합니다. “쯧쯧, 해발 98m에 갈대가 어디 있니? 이거 다 억새야, 바보야.”소년의 말처럼 키가 크다고 다 갈대가 아닙니다. 하늘공원을 뒤덮고 있는 새하얀 키 큰 식물은 바로 억새이지요. 억새와 갈대는 생김새가 비슷하고 꽃이 ... ...
- [Photo] 전직 CFO의 눈에 비친 중국의 풍경들과학동아 l201509
- 수 없다는 것이다. 거짓말 같은 풍경을 만들어내는 비법이 있을까.[천 개의 영혼의 무덤 : 해발 4400m에 위치한 양칭 사원은 비구니 10만 명의 집이다. 티베트 불교에 귀의한 그들은 짧게는 4년, 길게는 15년 동안 이곳에서 불교를 공부한다. 마을 건너편에 듬성듬성 있는 높이 1.2m 크기의 작은 박스가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09
- 3차원 공간에서 세 번째 좌표를 빼놓을 순 없다. 바로 ‘높이’다. 높이는 육지에서는 해발고도, 바다에서는 수심이다. 특히 파도와 바람, 바닷물의 높낮이가 변하는 조석현상이 있는 바다에서 수심을 재는 일은 육지에서 고도를 재는 것보다 까다롭다. 1940년대 이전에는 납덩이를 매단 줄을 바다 ...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08
- 한다. 그래도 여기에 수억 원짜리 장비들을 놓은 덕에 중요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었다. 해발고도 300m에 위치한 덕분에 한밤중에 잔류층에서 어떤 화학반응이 일어나는지 알 수 있다.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넘어오는 오염물질도 일부 측정할 수 있다.잔류층(Residual Layer)야간에 지표면에서 100m~1km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