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가래
작은삽
괭이
d라이브러리
"
호미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912
superfamily)인
호미
노이대(hominoidea, 일반으로
호미
노이드라고 부름)에 속한다. 전통적으로
호미
노이대는 인류과(hominidae)와 유인원과(pongidae)로 나누어진다(그림3). 그런데 문제는 발견되는 화석 영장류들이 유인원과에 속하지 않으므로 지금은 절멸된 독자적인 과로 분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09
기능을 수행할까? 쉽게 말해서 '그렇게 생겼기 때문'이다.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낫과
호미
는 각각 풀을 베고 김을 매는데 적합하도록 설계된 구조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자연은 아미노산의 개수와 조성 및 순서를 적절히 조절해 헤모글로빈과 펩신이 각각의 기능에 적합한 구조를 갖도록 설계한 ... ...
치아
과학동아
l
199603
스케일링을 하면 새로 형성된 치석의 양도 적어지고 잇몸에 염증도 적게 발생한다.
호미
로 막을 일, 가래로 막아서는 안된다.8. 사랑니는 꼭 빼야 하나방치하면 입냄새·염증 생기고 어금니 상해성인의 치아 수는 사랑니 4개를 포함해 모두 32개다'사랑니' 는 사람이 사랑할 나이(약 20세)가 됐을 때 ... ...
수리 시설
과학동아
l
199511
양을 객관적인 수치로 파악한다.이와 함께 비가 내릴 당시의 토지의 수분 함량을 감안해
호미
나 쟁기와 같은 농구(農具)를 이용한 강우량 측정법이 사용됐다. 가뭄이 심할 때 내린 비의 양과 장마 때 내린 비의 양이 절대적인 수치로 비슷할지라도 실제 농사에서의 의미는 서로 다르기 때문이었다. ... ...
1. 태고의 유인원, 2천3백만년 전 첫 출현
과학동아
l
199405
그래서 여성이 혼자서 아기를 업고 다니면서 음식물을 채집하지 않으면 안됐다.그런데
호미
노이드들 중에서 인류의 조상은 남성이 반복적으로 여성에게 돌아오게 함으로써 남성의 에너지를 아기의 양육에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게 됐다. 여성이 한자리에 머물면서 여러 명의 아기를 ... ...
'건강 신발'로 불황탈출 묘책 내놓은 원인호
과학동아
l
199207
둔 것이었다. 그가 기억하는 자신의 첫 발명품도 서서 일할 수 있도록 만든 개량형
호미
. 농촌 부녀자들의 1년중 가장 큰 농사인 메주담그기를 간소화 하기위해 개량메주를 만든 것은 물론 자신의 아이디어로 새롭게 고안한 농기구들의 도안을 가지고 그는 전국의 농촌을 누비며 '과학영농, 농공병진 ... ...
유전공학의 관심사 「무서운 생명력」
과학동아
l
199004
여러 가지 있지만 대체로 농업과학기술이 발전되기 전인 60년대 이전까지는 주로
호미
낫 등의 소농기구를 이용한 기계적인 방제에 치중해 왔다. 최근에는 제초제(除草劑) 이용을 주로 하는 화학적 방제기술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일 경우가 많다. ... ...
「가래」 대신 「
호미
」로 막는다
과학동아
l
199002
남부 캘리포니아는 자연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하지만 대기오염이 심하다는 측면에서도 널리 알려져있다. 로스앤젤레스 부근의 대기오염은 더욱 심각하다. 수십년동안 스모그의 해소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오염도는 별로 개선되지 않고 있다. 반면 연방당국의 대기오염기준 ... ...
무쇠도끼와 철불
과학동아
l
199002
철기는 크게 보급되고 그 종류도 다양해졌다. 이 시기의 여러 주거지에서 쇠로 만든
호미
괭이 낫 도끼 끌 칼 화살촉 등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이러한 철제 농공구(農工具)의 다양한 제조와 보급은 생산기술의 혁명을 일으키게 되었다. 청동기시대와는 비교가 안되는 좋은 집을 지을 수 있었고, ... ...
국내 최초의 직업병전문연구소
과학동아
l
198908
않더라도 국가적 차원에서 직업병연구는 낭비를 막아주는 소중한 분야라 할 수 있다. ‘
호미
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못막는다’는 우리의 속담이 직업병연구를 게을리 했을 때 적용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