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승
d라이브러리
"
황토
"(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들은 왜 일부일처제를 지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3
살짝 달랐어요. 앞에 가는 재두루미 두 마리는 뒷머리가 하얗지만, 뒤에 가는 두 마리는
황토
색이었어요(오른쪽 사진). 보통 뒤의 녀석들이 앞의 두 마리를 따라가거나 쫓아 행동했지요. 이들은 두루미 가족으로, 앞의 두 마리는 부모이고 뒤에 따르는 녀석들은 새끼들이었답니다. 새끼들은 ... ...
맹꽁이 VS 두꺼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
두꺼비는 주둥이부터 엉덩이까지의 몸 크기가 6~12㎝예요. 몸 전체의 색은 보통
황토
색과 갈색이고 검은색의 줄무늬가 몸통 옆에 있지요. 눈 뒤쪽에는 독주머니가 불룩하게 튀어나와 있어요. 또 온몸에는 오돌토돌한 작은 돌기가 나 있답니다. 2~3월이면 저수지나 물이 고인 논에서 짝짓기하여 알을 ... ...
백두대간에는 신갈나무도 있고, 하늘다람쥐도 있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9
훨씬 자연을 사랑하시는걸요. 이번 생태지도를 만들기 위해 조사했을 때 자연이 파괴돼
황토
색 땅이 그대로 드러난 지역이 꽤 많았거든요. 더욱 자연을 사랑하기 위한 마음이 담긴 지도를 나쁜 의도로 사용하는 사람이 없었으면 좋겠어요 ... ...
어린이 과학자가 밝혀낸 회암사지 ‘ㅌ’자 구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9
방학에는 선생님과 함께 밤낮없이 실험했어요.조사하는 데 어떤 점이 가장 어려웠나요?
황토
를 가지고 구들 모형을 직접 만드는 게 가장 어려웠어요. 만드는 시간도 오래 걸리고 잘 부서졌거든요. 또 가스 토치로 열을 일정하게 가하는 것도 어려웠어요.꼬박 1년 동안 연구했다는 말을 듣고 ... ...
4월, 더 독해진 황사에 대처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8
지역인 한반도 면적 크기의 약 4배나 되는 사막과 고원이 있거든요. 특히 중국의
황토
고원과 내몽골고원에서 떠오른 흙먼지가 우리나라에 가장 빠르게 영향을 줄 수 있지요. 명예기자 그런데 그 황사는 왜 자꾸 우리나라로 몰려오는 건가요? 공기가 더러워져서 우리 몸에 해롭기만 한데 말이에요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302
그칠 뿐 질병을 치료하지는 못합니다.그렇다면 찜질방에서 광고하는 자수정, 맥반석,
황토
등의 효과는 무엇일까요. 왜 불가마의 종류에 따라 콜레스테롤이 사라지거나 골다공증이 없어질까요. 불가마를 만드는 광물에 따라 나오는 원적외선의 파장이 다를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원적외선이 파장에 ... ...
녹조비상! 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워낙 넓어 웬만한 기술로는 쓰는 돈에 비해 효과가 낮거든. 현재까지 가장 좋은 방법은
황토
를 뿌리는 것이지(위 사진). 최근 환경부가 팔당호 같은 주요 지역에 녹조를 없애는 시설을 설치하려고 준비하고 있어. 조류를 걷어 내거나 가라 앉혀서 없애는 기술을 이용한 시설이야. 녹조 현상을 ... ...
녹조라떼의 구세주 천연 조류제어제
과학동아
l
201209
화학물질 같은 독성이 없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도 거의 없다고 한다. 기존에 사용하던
황토
보다 녹조 제거 효과도 다섯 배나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액체 물질형태라서 넓은 지역을 이동하며 살포하기에도 수월하다. 환경부의 허가를 받으면 곧 모든 상수원에 뿌려진다. 하지만 우리가 마시고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5
5%나높아진단다. 비밀 ➍
황토
흙벽조선 온실의 마지막 비밀은 바로
황토
로 만든 벽이야.
황토
로 만든 벽은 밖의 찬기운은 들어오지 못하게 막고 안쪽의 따뜻한 기운은 빠져나가지 못하게 막아 준다고 해. 색깔만 예쁜 벽인 줄 알았는데 멋진 기능까지 가지고 있었어! 우리의 미래, 과학 농업조선 ... ...
민물새우 사는 생태연못 둠벙을 아십니까?
과학동아
l
201202
찾은 나주와 해남의 논에는 연두빛 마늘이 많이 자라고 있었다. 흙은 1월인데도 붉은
황토
빛이었고, 물기가 많지 않았다.하지만 이런 이유 말고도 농촌에서 물 자체가 귀해졌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도원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저서 ‘흐르는 강물따라’에서 “땅속으로 스며드는 물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