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퓨즈
화약심지
도화선
d라이브러리
"
휴즈
"(으)로 총 61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결국 성사되지는 않았습니다.”대신 이 논문은 그가 졸업 후 몸담았던 직장인 리듬&
휴즈
스튜디오와 이어주었다. 노 교수의 박사 논문을 본 리듬&
휴즈
스튜디오가 실제로 이를 구현해 사용하면서 교류가 시작됐는데, 나중에는 아예 스카웃 제의를 해온 것. 당시 KAIST에서도 부르긴 했지만, 그는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04
구글 번역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렇다면 쌍을 이루는 웹문서를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휴즈
디렉터는 “웹페이지의 나머지 주소가 똑같은데 ‘~.com/en~’ 또는 ‘~.com/ko~’인 두 문서가 확률적으로 같은 내용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그밖에 단어나 심볼, 날짜나 숫자, 유명인 이름 ... ...
남자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06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미국 MIT 화이트헤드생화학연구소의 제니퍼
휴즈
박사와 데이비드 페이지 박사 연구팀은 네이처 2005년 9월 1일자에 사람의 Y염색체가 생각보다 오래 보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은 600만 년 전쯤 갈라진 사람과 침팬지의 Y염색체를 비교했다. ... ...
수학으로 요리하는 파스타?!
수학동아
l
201202
파스타에도 수학이 숨어 있을까?최근 네덜란드 트벤테대에서 유체역학을 전공한 샌더
휴즈
만 씨는 파스타 면의 모양에 따라 구조를 설명하는 서로 다른 방정식을 구해 공개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파스타의 기하학적인 구조를 분석했다.이를 위해 먼저 3차원 좌표 위에 파스타 크기의 범위를 ... ...
깃털처럼 가벼운 금속
과학동아
l
201112
버리는 민들레 홀씨 다발 위에 올려놓아도 홀씨 하나 흐트러지지 않는다.미국 UC어바인
휴즈
연구소와 캘리포니아공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이 금속은 99.9%가 공기고 나머지 0.1%만 고체다. 밀도가 0.9mg/cm3으로 스티로폼보다 100배나 가볍다. 이 결과는 11월 18일자 ‘사이언스’에 실렸다. 기술의 핵심은 ... ...
트라우마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04
‘네이처’ 2월 24일자에는 그 이유를 설명하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미국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케리 레슬러 박사팀은 PTSD를 겪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1200여 명을 조사한 결과 PTSD를 겪고 있는 사람은 혈중 PACAP의 농도가 더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PACAP는 스트레스에 대한 뇌의 반응에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05
0년까지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미국 유수의 연구소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는 사이에,
휴즈
사에 소속된 작은 기술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시어도어 메이먼도 레이저를 개발하기 위한 실험에 속도를 내고 있었다. 그는 벨연구소에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루비를 매질로 사용했다. 루비 결정의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02
미시간주립대 약학 및 독성학과 박사1995~1997년미국 하버드의대 신경생물학과,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 박사 후 연구원1997~2000년부산대 약학과 교수2000년~현재KAIST 생명과학과 교수2003년~현재 창의적연구진흥사업 시냅스 생성 연구단 ... ...
머리카락이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05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왔다. 지난해 미국 록펠러대와 하워드
휴즈
의학연구소팀은 피부 줄기세포를 이용해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보통 쥐의 피부에서 성체줄기세포를 추출했다. 이를 시험관에서 배양한 다음 털이 없는 혈통의 쥐에게 이식했다. 그 ... ...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08
성공했다.또한 원자탄을 개발한 곳으로 유명한 미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의
휴즈
박사팀은 2002년 대낮에 10km 무선 양자암호통신에 성공했다. 이 실험은 햇볕이 내리쬐는 대낮에 대기 중에서 성공했다는데 대단한 의미가 있다. 태양으로부터 쏟아져 내리는 엄청나게 많은 광자가 대기 중에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