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MAP"(으)로 총 33건 검색되었습니다.
- ② 10만 단백질 군단 정체 규명에 도전과학동아 l200109
- psi)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는데 이를 2차 평면에 도식화한 것을 라마찬드란 지도(Ramachandran map)라고 한다. 라마찬드란은 이 패턴을 고안한 인도과학자의 이름이다. 단백질의 3차구조는 다양한 2차구조들이 조합된 결과다. 2차구조의 조합 결과로 생기는 3차구조는 거의 무한대에 가까운 수를 생성해낼 ... ...
- 옛사람이 들려주는 우주생성 신화과학동아 l200109
- 시나리오가 대체로 맞음을 증명했다.최근에는 우주배경복사 비등방성 측정위성, 즉 맵(MAP)을 발사했다. 이 측정위성은 코비 위성보다 훨씬 더 자세히 우주배경복사의 모습을 보여줄 것이다. 그 결과 우주의 특징을 나타내는 물리량을 좀더 정밀하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과학동아 l200012
- 분석을 통해 유용한 유전자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식물게놈의 연구는 유전자지도(Genetic map)작성,물리지도(Physical map)작성,염기서열분석(DNA sequencing)그리고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유전자기능 탐색 등 4단계로 진행된다.만약 DNA가 염기A,G,C,T1억쌍으로 이뤄져있는 식물의 경우 게놈연구는 어떻게 ...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0008
- 있는 위성이다.이 위성 역시 우주론적 인자를 정확히 결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MAP과 플랑크 위성에 의한 우주배경 복사 관측 자료는 우주 거대구조와 초기 우주의 이해에 큰 진전을 가져다 줄 것이다.원적외선 서브밀리파 우주망원경,FIRSTFIRST(Far InfraRed and Submillimeter Telescope)는 NGST와 마찬가 ...
- 전자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199709
- 우리들까지도 빅뱅 당시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을 것이다. 빅뱅이론을 알려면 NASA(http://map.gsfc.nasa.gov/html/big_bang.html)를 찾아보는 것이 좋다.고체에서의 전자전자공학에서는 반도체라 불리는 특별한 물질이 필요하다. 이 물질의 특성은 전자에 따라 달라진다. 전류는 전자의 흐름에 의존한다. 금속은 ... ...
- 행성의 이름은 어떻게 짓는가과학동아 l199701
- maps are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maps published in other countries use the language of that country. Maps published in Russian use the Cyrillic typescript; (roman ...
- 3. 2004년 인간 설계도 완성된다과학동아 l199612
- 유전체 상에 한 유전자의 위치를 수학적인 거리의 개념으로 나타내는 물리 지도(physical map)와 기능을 가진 유전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유전 지도(genetic map)가 있다. 지도작성은 19세기 중엽부터 유전학자들에 의해 꾸준히 계속됐지만, 제한된 유전자 분석기술로 커다란 진전은 없었다. 그러나 ... ...
- 1. 정신유전자는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199612
- 유전자 규명에 가장 기본적인 일은 염색체 상에서 유전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매핑(mapping)이다. 유전자 지도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번에 제공하는 유전자 지도는 물리지도(physical map, 왼쪽)와 밀도지도(density map, 오른쪽)다.염색체에는 수만개의 염기가 들어있기 때문에 물리 지도의 단위는 . ...
- 5. 기억력 높이는 필기법, 마인드맵과학동아 l199611
- 생각은 상당한 설득력이 있다. 이는 요즘 한창 인기를 끌고 있는 ‘마인드 맵‘(mind map)을 활용하는 사람들의 기본적인 입장이다. 마인드 맵의 기본 전제는 노트 정리를 할 때 글자를 이용해 선형적으로 쓰기보다 그림을 이용해 병렬적으로 그리는 것이 기억에 더 효과적이라는 점이다. 기억해야 할 ... ...
- 인터넷 과학 사이트 베스트 57과학동아 l199509
- 사진이 위치한 곳을 마우스로 클릭하면 된다.Stargazer Map(http://www.mtwilson.edu/Services/starmap.html)위치와 시간을 지정해주면 해당하는 별의 지도를 포스트스크립트 형태의 파일로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다. 위치 시간 외에도 자신이 원하는 몇가지 조건을 더 지정해 ...
이전1234 다음